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송병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3번째 줄: 43번째 줄: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47/E04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26/E02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2017년 11월 23일 (목) 17:43 판

송병선(宋秉璿)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송병선
한자표기 宋秉璿
생몰년 1836-1905
본관 은진
연재(淵齋), 동방일사(東方一士)
화옥(華玉)
시대 조선
송면수(宋勉洙)


정의

송시열의 후손으로 이천우를 기리는 완산부원군양도이공신도비명병서를 지었다. [1]

내용

송병선의 생애

송시열의 9세손으로 조선 말기의 학자이다. 1877년 태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국권을 박탈하자 두 차례의 「청토흉적소(請討凶賊疏)」를 올렸다. 또 고종을 알현하여 을사오적을 처형할 것, 현량(賢良)을 뽑아 쓸 것, 기강을 세울 것 등의 십조봉사(十條封事)를 올렸다.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운동 계속 전개하려 하였으나 경무사 윤철규(尹喆圭)에게 속아 납치되어 대전으로 호송되었다. 그 해 음력 12월 30일 국권을 강탈당한 데 대한 통분으로, 유서를 남기고 독약을 마시고 자결하였다. [2]

저술활동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 등 대선비의 문집에서 좋은 글귀를 뽑아서, 『근사록(近思錄)』과 같은 범례를 좇아 책을 지어 『근사속록(近思續錄)』이라 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도 『연재집(淵齋集)』과 『근사속록(近思續錄)』, 『패동연원록(浿東淵源錄)』, 『무계만집(武溪謾集)』, 『동감강목(東鑑綱目)』 등 53권이 있다.[3]

지식 관계망

  • 이천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송병선 완산부원군양도이공신도비명병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송병선 송시열 A는 B의 후손이다 A ekc:hasAncestor B
이천우 완산부원군양도이공신도비명병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근사록 송병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심사정 수묵화죽도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한남대학교, 『송병선·송병순의 생애와 사상』, 한남대학교 충청학연구소.
  • 논문
    • 장성희, 「19세기 조선 유학사 정이 작업에 대한 연구 - 송병선(宋秉璿)의 성찰적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儒學硏究』28,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