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송병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30번째 줄: 30번째 줄:
 
}}
 
}}
 
==정의==
 
==정의==
[[송시열]]의 후손으로 [[이천우]]를 기리는 [[완산부원군양도이공신도비명병서]]를 지었다.
+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순국지사이다.
<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24 송병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내용==
 +
===가계===
 +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화옥(華玉)이며 호는 연재(淵齋) 혹은 동방일사(東方一士)이다.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면수(勉洙)의 맏아들로이다. 참의 달수(達洙)와 근수(近洙)의 종질이며, 병순(秉珣)의 형이다. 큰아버지인 달수에게서 병순과 함께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다.
 +
 
===[[송병선]]의 생애===
 
===[[송병선]]의 생애===
[[송시열]]의 9세손으로 조선 말기의 학자이다. 1877년 태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국권을 박탈하자 두 차례의 「[[청토흉적소|청토흉적소(請討凶賊疏)]]」를 올렸다. 또 [[조선 고종|고종]]을 알현하여 을사오적을 처형할 것, 현량(賢良)을 뽑아 쓸 것, 기강을 세울 것 등의 [[십조봉사|십조봉사(十條封事)]]를 올렸다.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운동 계속 전개하려 하였으나 경무사 [[윤철규|윤철규(尹喆圭)]]에게 속아 납치되어 대전으로 호송되었다. 그 해 음력 12월 30일 국권을 강탈당한 데 대한 통분으로, 유서를 남기고 독약을 마시고 자결하였다. <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24 송병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송시열]]의 9세손으로 조선 말기의 학자이다. 1877년 태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국권을 박탈하자 두 차례의 「[[청토흉적소|청토흉적소(請討凶賊疏)]]」를 올렸다. 또 [[조선 고종|고종]]을 알현하여 을사오적을 처형할 것, 현량(賢良)을 뽑아 쓸 것, 기강을 세울 것 등의 [[십조봉사|십조봉사(十條封事)]]를 올렸다.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운동을 계속 전개하려 하였으나 경무사 [[윤철규|윤철규(尹喆圭)]]에게 속아 납치되어 대전으로 호송되었다. 그 해 음력 12월 30일 국권을 강탈당한 데 대한 통분으로,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24 송병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저술활동===
 
===저술활동===
 
[[조광조|조광조(趙光祖)]]·[[이황|이황(李滉)]]·[[이이|이이(李珥)]]·[[김장생|김장생(金長生)]]·[[송시열 ]]등 대선비의 문집에서 좋은 글귀를 뽑아서, 『[[근사록|근사록(近思錄)]]』과 같은 범례를 좇아 책을 지어 『[[근사속록|근사속록(近思續錄)]]』이라 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도 『[[연재집|연재집(淵齋集)]]』과 『[[근사속록|근사속록(近思續錄)]]』, 『[[패동연원록|패동연원록(浿東淵源錄)]]』, 『[[무계만집|무계만집(武溪謾集)]]』, 『[[동감강목|동감강목(東鑑綱目)]]』 등 53권이 있다.<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24 송병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조광조|조광조(趙光祖)]]·[[이황|이황(李滉)]]·[[이이|이이(李珥)]]·[[김장생|김장생(金長生)]]·[[송시열 ]]등 대선비의 문집에서 좋은 글귀를 뽑아서, 『[[근사록|근사록(近思錄)]]』과 같은 범례를 좇아 책을 지어 『[[근사속록|근사속록(近思續錄)]]』이라 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도 『[[연재집|연재집(淵齋集)]]』과 『[[근사속록|근사속록(近思續錄)]]』, 『[[패동연원록|패동연원록(浿東淵源錄)]]』, 『[[무계만집|무계만집(武溪謾集)]]』, 『[[동감강목|동감강목(東鑑綱目)]]』 등 53권이 있다.<ref>신용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0824 송병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8년 1월 4일 (목) 18:16 판

송병선(宋秉璿)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송병선
한자표기 宋秉璿
생몰년 1836-1905
본관 은진
연재(淵齋), 동방일사(東方一士)
화옥(華玉)
시대 조선
송면수(宋勉洙)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순국지사이다.

내용

가계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화옥(華玉)이며 호는 연재(淵齋) 혹은 동방일사(東方一士)이다. 송시열(宋時烈)의 9세손이며, 면수(勉洙)의 맏아들로이다. 참의 달수(達洙)와 근수(近洙)의 종질이며, 병순(秉珣)의 형이다. 큰아버지인 달수에게서 병순과 함께 성리학과 예학을 배웠다.

송병선의 생애

송시열의 9세손으로 조선 말기의 학자이다. 1877년 태릉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고 국권을 박탈하자 두 차례의 「청토흉적소(請討凶賊疏)」를 올렸다. 또 고종을 알현하여 을사오적을 처형할 것, 현량(賢良)을 뽑아 쓸 것, 기강을 세울 것 등의 십조봉사(十條封事)를 올렸다. 을사조약에 대한 반대운동을 계속 전개하려 하였으나 경무사 윤철규(尹喆圭)에게 속아 납치되어 대전으로 호송되었다. 그 해 음력 12월 30일 국권을 강탈당한 데 대한 통분으로,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1]

저술활동

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송시열 등 대선비의 문집에서 좋은 글귀를 뽑아서, 『근사록(近思錄)』과 같은 범례를 좇아 책을 지어 『근사속록(近思續錄)』이라 하였다. 그밖의 저서로도 『연재집(淵齋集)』과 『근사속록(近思續錄)』, 『패동연원록(浿東淵源錄)』, 『무계만집(武溪謾集)』, 『동감강목(東鑑綱目)』 등 53권이 있다.[2]

지식 관계망

  • 이천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송병선 완산부원군양도이공신도비명병서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송병선 송시열 A는 B의 후손이다 A ekc:hasAncestor B
이천우 완산부원군양도이공신도비명병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근사록 송병선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심사정 수묵화죽도 A는 B를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신용하, "송병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한남대학교, 『송병선·송병순의 생애와 사상』, 한남대학교 충청학연구소.
  • 논문
    • 장성희, 「19세기 조선 유학사 정이 작업에 대한 연구 - 송병선(宋秉璿)의 성찰적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儒學硏究』28,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