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생육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지식관계망)
18번째 줄: 18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
* '''김시습과 성삼문과 박팽년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1/E01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2017년 11월 24일 (금) 18:42 판

생육신
(生六臣)
Six life.png
대표명칭 생육신
한자표기 生六臣
관련개념 사육신, 계유정난, 단종복위운동


정의

조선 제6대왕 단종을 위하여 절의를 지킨 6인의 신하.

내용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죽은 사육신(死六臣)의 대비하여 목숨을 잃지 않고 살았지만 평생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묻혀 살았던 사람을 생육신이라 하는데, 김시습(金時習)·원호(元昊)·이맹전(李孟專)·조려(趙旅)·성담수(成聃壽)·남효온(南孝溫)이다.[1]

이들은 세조의 즉위를 부도덕한 찬탈행위로 규정하고 비난하며 지내다 죽었다. 중종반정 후 사림파가 등장, 사육신에 대한 새로운 평가가 나오게 되면서 이들의 절의 또한 새로운 평가를 받게 되었다. 그 뒤 조정에서 시호를 내려주는 등 크게 추앙받았다.[2]

지식관계망

  • 김시습과 성삼문과 박팽년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육신 생육신 A는 B와 관련이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시습 생육신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원호 생육신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이맹전 생육신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조려 생육신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성담수 생육신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남효온 생육신 A는 B의 멤버이다 A foaf:member B

시각자료

주석

  1. "생육신", 『두산백과』online.
  2. 이재호, "생육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생육신", 『두산백과』online.
  • 이재호, "생육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웹자원
    • 신병주, 노대환, 『고전소설 속 역사여행』, 돌베개, 2005. 온라인참조:"생육신",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장선미, 『생방송 한국사5: 한국사 더 쉽고 재밌고 생생하게! 조선전기』, (주)북이십일 아울북, 2017. 온라인참조:"생육신, 사육신의 정신을 물려받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논문
    • 김용흠, 「조선 세조대 정치를 보는 시각과 생육신」, 『역사와 현실』 제64호, 한국역사연구회, 2007, 233-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