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사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복식정보
|사진= 사모-당상관-19세기-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5) 명선()-p40.jpg
+
|사진= 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jpg
|사진출처=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명선()』, 2005, 40쪽.
+
|사진출처=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대표명칭= 사모
 
|대표명칭= 사모
 
|한자표기= 紗帽
 
|한자표기= 紗帽
12번째 줄: 12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 말부터 조선말까지 [[백관의 상복]]이나 [[백관의 시복]]인 [[단령(團領)]]을 입을 때 착용하던 관이다.
+
고려 말부터 조선말까지 [[백관의 상복]]이나 [[백관의 시복]]인 [[단령|던령(團領)]]을 입을 때 착용하던 관이다.
  
 
=='''내용'''==
 
=='''내용'''==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이층구조로, 뒷면 아래쪽에 좌우 수평으로 뻗어 있는 뿔이 있다.<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39쪽.</ref>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형태가 된다. 머리에 쓰는 부분인 모체(帽體)의 높낮이 및 뿔의 폭과 길이도 시대에 따라 변했다. 조선 중기에는 모체가 높고 뿔의 폭이 넓고 평직이었으며, 말기에는 모체가 다시 낮아지면서 뿔의 폭은 여전히 넓으나 길이는 짧아지고 앞으로 굽은 모양이다.<ref>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131쪽.</ref> [[영조]]대의 『[[속대전|속대전(續大典)]]』에 신하들 간의 품계에 따라 뿔의 무늬를 달리하여 [[사모]]를 구분했는데, 당상 3품 이상은 무늬 있는 뿔인 문사각(紋紗角), 당하 3품 이하는 단사각(單紗角)을 쓰도록 규정했다고 전해진다.<ref>『續大典』,「禮典」, ‘儀章’ : “冠堂上三品以上烏紗帽紋紗角, 堂下三品以下烏紗帽單紗角.”</ref> 당상관은 겹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를 만들고 당하관은 홑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했다. 조선말기 혼례 때에 신랑이 [[단령]]에 [[사모]]를 착용함으로써, '사모관대 차림'이라고 하였으며 현재 결혼식에서 폐백 때에도 착용한다.<ref>한국복식사전 사모.[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20] </ref>
+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이층구조로, 뒷면 아래쪽에 좌우 수평으로 뻗어 있는 뿔이 있다.<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39쪽.</ref>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형태가 된다. 머리에 쓰는 부분인 모체(帽體)의 높낮이 및 뿔의 폭과 길이도 시대에 따라 변했다. 조선 중기에는 모체가 높고 뿔의 폭이 넓고 평직이었으며, 말기에는 모체가 다시 낮아지면서 뿔의 폭은 여전히 넓으나 길이는 짧아지고 앞으로 굽은 모양이다.<ref>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131쪽.</ref> [[영조]]대의 『[[속대전|속대전(續大典)]]』에 신하들 간의 품계에 따라 뿔의 무늬를 달리하여 [[사모]]를 구분했는데, 당상 3품 이상은 무늬 있는 뿔인 문사각(紋紗角), 당하 3품 이하는 단사각(單紗角)을 쓰도록 규정했다고 전해진다.<ref>『續大典』,「禮典」, ‘儀章’ : “冠堂上三品以上烏紗帽紋紗角, 堂下三品以下烏紗帽單紗角.”</ref> 당상관은 겹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를 만들고 당하관은 홑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했다. 조선말기 혼례 때에 신랑이 [[단령]]에 [[사모]]를 착용함으로써, '사모관대 차림'이라고 하였으며 현재 결혼식에서 폐백 때에도 착용한다.<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20 한국복식사전 사모] </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6번째 줄: 36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파일:사모-당상관-19세기-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5) 명선(중)-p40.jpg|19세기 사모.<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명선-중』, 40쪽.</ref>
 
파일:사모-당하관-19세기-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5) 명선(중)-p40.jpg|19세기 사모.<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명선-중』, 40쪽.</ref>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1.jpg|19세기 사모(정면).<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jpg|19세기 사모(측면) <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3.jpg|19세기 사모(측면) <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jpg|19세기 사모(반측면). <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파일:사모-소장품번호(민속 011180)-기증자(장양원)-국립민속박물관 소장 5.jpg|19세기 사모(반측면). <ref>국립민속박물관 소장.</ref>

2017년 9월 7일 (목) 16:07 판


사모
(紗帽)
국립민속박물관(http://www.nfm.go.kr/)
대표명칭 사모
한자표기 紗帽
구분 관 및 쓰개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고려 말부터 조선말까지 백관의 상복이나 백관의 시복던령(團領)을 입을 때 착용하던 관이다.

내용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이층구조로, 뒷면 아래쪽에 좌우 수평으로 뻗어 있는 뿔이 있다.[1] 헝겊에서 단단한 재질의 사모로 발전한 후에도 초기에는 부드러운 두 뿔이 밑으로 처진 형태였으나, 차차 빳빳해져서 조선 중기 명종대 이후로는 양옆으로 반듯하게 펴진 단단한 경각(硬角)의 형태가 된다. 머리에 쓰는 부분인 모체(帽體)의 높낮이 및 뿔의 폭과 길이도 시대에 따라 변했다. 조선 중기에는 모체가 높고 뿔의 폭이 넓고 평직이었으며, 말기에는 모체가 다시 낮아지면서 뿔의 폭은 여전히 넓으나 길이는 짧아지고 앞으로 굽은 모양이다.[2] 영조대의 『속대전(續大典)』에 신하들 간의 품계에 따라 뿔의 무늬를 달리하여 사모를 구분했는데, 당상 3품 이상은 무늬 있는 뿔인 문사각(紋紗角), 당하 3품 이하는 단사각(單紗角)을 쓰도록 규정했다고 전해진다.[3] 당상관은 겹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를 만들고 당하관은 홑으로 된 뿔을 써서 무늬가 생기지 않도록 했다. 조선말기 혼례 때에 신랑이 단령사모를 착용함으로써, '사모관대 차림'이라고 하였으며 현재 결혼식에서 폐백 때에도 착용한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모 백관 A는 B를 착용한다
백관의 상복 사모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백관의 시복 사모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백사모를 쓴 관리", 문화원형백과 전통머리모양과 머리치레거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2004. 온라인 참조: "남성용/백사모", 문화원형백과, 『네이버TV』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8일.

주석

  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39쪽.
  2. 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131쪽.
  3. 『續大典』,「禮典」, ‘儀章’ : “冠堂上三品以上烏紗帽紋紗角, 堂下三品以下烏紗帽單紗角.”
  4. 한국복식사전 사모
  5.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6.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7. 『조선시대 초상화 2』, 111쪽.
  8. 『조선시대 초상화 1』, 118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민속박물관, 『머리에서 발끝까지』, 국립민속박물관, 2011.
  • 국사편찬위원회,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국사편찬위원회, 2006.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名選 中』 , 단국대학교출판부, 2005.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李民周, 「朝鮮時代 王族冠帽에 關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6.
  • 高光林, 「團領에 關한 硏究-朝鮮時代를 中心으로-」, 『論文集 』14집, 인천교육대학교, 1979.
  • 林栽永, 「團領에 관한 硏究」, 『한국의류학회지』, 8권 3호, 한국의류학회, 1984.
  • 백영자, 「전통 혼례복 구성에 관한 연구 -단령과 원삼을 중심으로-」, 『論文集』, 30輯,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0.
  • 孫敬子, 「李朝時代 各階級에 따르는 團領과 諸服裝에 對한 考察」, 『愛知苑』 1권, 1962.
  • 신혜성, 홍나영, 「풍속화에 나타난 혼례용 단령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5권 6호, 복식문화학회, 2007.
  • 柳喜卿, 「우리나라의 冠帽」, 『대한가정학회지』 제4권, 대한가정학회, 1963.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