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백관의 편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장정보
 
{{복장정보
|사진=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편복 김아람.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백관의 편복
 
|대표명칭= 백관의 편복
11번째 줄: 11번째 줄:
 
}}
 
}}
  
 +
=='''정의'''==
 +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정의==
+
=='''내용'''==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
[[백관의 편복|편복]]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평상시에 입는 옷[常服]’이다. 조선시대 남자들의 기본 복식은 [[바지]]와 [[저고리(남성)|저고리]]이며, 그 위에 포(袍)를 입는다. 조선시대는 의(義)와 예(禮)가 존중되던 시대였기 때문에 사대부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집에서도 포를 착용하는 것을 예의로 여겼다.<ref>차서연, 「徐有榘의 服飾觀 - 「贍用志」 '服飾之具‘의 분석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1쪽.</ref>
  
==복식구성==
+
===복식구성===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21번째 줄: 23번째 줄:
 
* [[복건 | 복건(幅巾)]], [[심의 | 심의(深衣)]], [[대대(백관) | 대대(大帶)]], [[혜]]
 
* [[복건 | 복건(幅巾)]], [[심의 | 심의(深衣)]], [[대대(백관) | 대대(大帶)]], [[혜]]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53/B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dh.aks.ac.kr/Encyves/Graph/B070/B070.htm 백관의 편복2 일습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B071/B071.htm 백관의 편복3 일습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B072/B072.htm 백관의 편복4 일습 지식관계망]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백관]] || 백관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백관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도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혜(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복건]]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학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심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백관의 편복 || [[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참고문헌==
+
===시간정보===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공간정보===
  
==주석==
+
=='''시각자료'''==
 +
===갤러리===
 +
===영상===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송미경, 「김확[金矱: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 장인우,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16·17C출토 복식 중심-」, 『服飾』 35권, 한국복식학회, 1997.
 +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진미희,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최정욱, 「조선시대 편복(便服) 포(袍)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6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08.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복장]]
 
[[분류:복장]]

2017년 11월 14일 (화) 20:57 기준 최신판


백관의 편복
(百官의 便服)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편복 김아람.png
대표명칭 백관의 편복
한자표기 百官의 便服
분류 편복
착용신분 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내용

편복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평상시에 입는 옷[常服]’이다. 조선시대 남자들의 기본 복식은 바지저고리이며, 그 위에 포(袍)를 입는다. 조선시대는 의(義)와 예(禮)가 존중되던 시대였기 때문에 사대부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집에서도 포를 착용하는 것을 예의로 여겼다.[1]

복식구성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백관 백관의 편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백관의 편복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도포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세조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혜(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복건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학창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심의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백관의 편복 대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차서연, 「徐有榘의 服飾觀 - 「贍用志」 '服飾之具‘의 분석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1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송미경, 「김확[金矱: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장인우,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16·17C출토 복식 중심-」, 『服飾』 35권, 한국복식학회, 1997.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진미희,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최정욱, 「조선시대 편복(便服) 포(袍)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6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08.

일러스트 참고문헌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