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1번째 줄: 11번째 줄:
 
=대상 자원 목록=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
+
==1차 자원:민족기록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gallery>
 
<gallery>
175번째 줄: 175번째 줄: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 「불국사(복원)」 1973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 「불국사(복원)」 1973
 
</gallery>
 
</gallery>
 +
 +
==작가==
 +
===강대운===
 +
===김기창===
 +
===김서봉===
 +
===김숙진===
 +
===김원===
 +
===김종하===
 +
===김창락===
 +
===김충선===
 +
===김태===
 +
===김형구===
 +
===문학진===
 +
===박각순===
 +
===박광진===
 +
===박기태===
 +
===박득순===
 +
===박서보===
 +
===박석호===
 +
===박성환===
 +
===박영선===
 +
===박창돈===
 +
===박항섭===
 +
===손수광===
 +
===손응성===
 +
===신영상===
 +
===안재후===
 +
===양인옥===
 +
===오승우===
 +
===오승윤===
 +
===윤중식===
 +
===이동훈===
 +
===이마동===
 +
===이용환===
 +
===이의주===
 +
===이인영===
 +
===이종상===
 +
===임직순===
 +
===장두건===
 +
===장리석===
 +
===정영렬===
 +
===정창섭===
 +
===천칠봉===
 +
===최대섭===
 +
===최덕휴===
 +
===최영림===
 +
===하인두===

2016년 9월 22일 (목) 11:59 판

민족기록화관

민족기록화는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시작하여 1979년까지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이다. 본 연구 사업은 그 가운데 1973~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 사업으로 제작된 대략 100여 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개개의 작품이 모두 뛰어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이면을 짚고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약 500여 개의 지식노드(민족기록화 100여 편, 작가 50여 명, 사건 50여건, 공간 50여 건, 역사 인물 100여 명, 관련 문헌 50여 건, 개념어 50여 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가공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데이터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민족기록화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민족기록화 작품(역사/문화)

고대/삼국/통일신라시대

고대/삼국/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계몽/항일

현대

민족기록화 작품(경제발전)

농축수산/새마을

광공업

에너지

건설/교통

작가

강대운

김기창

김서봉

김숙진

김원

김종하

김창락

김충선

김태

김형구

문학진

박각순

박광진

박기태

박득순

박서보

박석호

박성환

박영선

박창돈

박항섭

손수광

손응성

신영상

안재후

양인옥

오승우

오승윤

윤중식

이동훈

이마동

이용환

이의주

이인영

이종상

임직순

장두건

장리석

정영렬

정창섭

천칠봉

최대섭

최덕휴

최영림

하인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