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오연행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장서각 소장본 『무오연행록』특징)
32번째 줄: 32번째 줄:
  
 
===장서각 소장본 『무오연행록』특징===
 
===장서각 소장본 『무오연행록』특징===
장서각에 소장된 한문본 『무오연행록(戊午燕行綠)』 2-4519??은 한글본의 1/5정도 분량으로 내용이 축약되었고, 서장관의 이름을 서지수(徐志修)로 쓴 것을 후에 서유문(徐有聞)으로 고친 흔적이 있다. 이를 볼 때 한글본을 토대로 한문본을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2-113쪽.</REF>
+
장서각에 소장된 한문본 『무오연행록(戊午燕行綠)』은 한글본의 1/5정도 분량으로 내용이 축약되었고, 서장관의 이름을 서지수(徐志修)로 쓴 것을 후에 서유문(徐有聞)으로 고친 흔적이 있다. 이를 볼 때 한글본을 토대로 한문본을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2-113쪽.</REF>
 
<!--
 
<!--
 
===역사적인 의미===
 
===역사적인 의미===

2017년 12월 9일 (토) 01:35 판

무오연행록
무오연행록 02.jpg
한자명칭 戊午燕行錄
영문명칭 A Korean journal of Seo Yumun’s trip to Yanjing (Qing)
작자 서유문
작성시기 1799년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2-4518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1.2×21.5㎝
판본 필사본
수량 6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조선 정조 대에 삼절연공겸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서유문의 한글 연행록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특별전 내용

서유문(徐有聞, 1762-1822)은 1798년(정조22) 10월부터 1799년(정조23) 4월 2일까지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온 일정을 한글 일기체로 기록하였다. 제1권은 서장관에 임명된 뒤의 준비과정부터 10월 19일 중국 황제의 표문(表文)을 받고 길을 떠나 12월 6일 쌍양점(雙陽店)에 이르기까지 약 3개월간의 일기이다. 제2권은 12월 7일 쌍양점에 머무르고 8일 길을 떠나 19일 북경(北京)에 들고 22일까지 머무른 일기이다. 제3권부터 제5권까지는 1798년 12월 23일부터 1799년 2월 6일까지 본격적으로 북경에서 체류한 기간의 일기이다. 제6권은 2월 7일 돌아올 길을 준비하여 2월 8일 북경을 떠나서 국경에 이른 3월 20일까지의 일기로 회정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귀국 후 복명하기까지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1] [2]

『무오연행록』의 한계와 의의

『무오연행록』은 북경에 체류할 당시의 기록이 중심인데, 홍대용(洪大容, 1731-1783)과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연행록보다는 관찰의 폭이 제한되어 있다. 이는 서유문의 연행록이 서장관으로서의 공식 기록이라는 점과 건륭제가 상중喪中인 관계로 북경 유람이 자유롭지 못했던 상황 때문이었다. 『무오연행록』은 홍대용(洪大容)의 한글본 「을병연행록」보다는 30여년,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보다는 17년 뒤인 18세기에 나온 것이지만, 18세기에도 드물게 보이는 한글로 된 기행문학작품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뿐만 아니라 작자의 특유한 대청관(對淸觀)·문명관 및 자기비판의 필치가 돋보이는 기행문학이기에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3]

장서각 소장본 『무오연행록』특징

장서각에 소장된 한문본 『무오연행록(戊午燕行綠)』은 한글본의 1/5정도 분량으로 내용이 축약되었고, 서장관의 이름을 서지수(徐志修)로 쓴 것을 후에 서유문(徐有聞)으로 고친 흔적이 있다. 이를 볼 때 한글본을 토대로 한문본을 작성한 것으로 추정된다.[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무오연행록 (해독)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오연행록 무오연행록 편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오연행록 열하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을병연행록 열하일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무오연행록 을병연행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장관 무오연행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지수 무오연행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서유문 무오연행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열하일기 박지원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을병연행록 홍대용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무오연행록 서유문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서유문 서지수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서유문 서장관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서지수 서장관 A는 B와 유사하다 A owl:sameAs B
무오연행록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799년 무오연행록이 간행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무오연행록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2-113쪽.
  2. 김태준, "무오연행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2-113쪽.
  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112-113쪽.

참고문헌

  • 저서
    • 민족문화추진회, 서유문, 김동욱, 유득공, 신호열, 「무오연행록 해제, 『(국역)연행록선집. 7』, 민족문화추진회,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