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내경편언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간정보)
(부연설명)
29번째 줄: 29번째 줄:
 
==부연설명==
 
==부연설명==
 
장서각 소장 『[[동의보감내경편언해]]』는 권1, 3, 5로 총 3책이 소장되어 있다.(도록의 내용 오류) 표기방식이 18세기 중반 이후 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의 특징과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과 어휘·문법적 특징이 19세기 중반과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이 책이 19세기 중반이나 그 이후에 언해(한글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축자역(원문 그대로를 해석)의 방식로 언해된 점, 약명이 향약명(우리말명)이 아닌 한자어 그대로를 사용했다는 점,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쓰였다는 점 등을 고려해볼때 이 책은 백성을 위해 언해되었기 보다는 전문지식(궁궐 의녀 등)을 갖춘 사람들을 위해 언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장서각 소장 『[[동의보감내경편언해]]』는 권1, 3, 5로 총 3책이 소장되어 있다.(도록의 내용 오류) 표기방식이 18세기 중반 이후 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의 특징과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과 어휘·문법적 특징이 19세기 중반과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이 책이 19세기 중반이나 그 이후에 언해(한글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축자역(원문 그대로를 해석)의 방식로 언해된 점, 약명이 향약명(우리말명)이 아닌 한자어 그대로를 사용했다는 점,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쓰였다는 점 등을 고려해볼때 이 책은 백성을 위해 언해되었기 보다는 전문지식(궁궐 의녀 등)을 갖춘 사람들을 위해 언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ref>이래호, 「장서각 소장 한글 필사본『동의보감 내경편』의 국어학적 고찰」, 『장서각』21, 2009, 198쪽 </ref>
+
<ref>이래호, 「장서각 소장 한글 필사본『동의보감 내경편』의 국어학적 고찰」, 『장서각』21, 2009, 198쪽/ </ref>
 +
[[동의보감서]]와 [[동의보감총목]]이 제시되고 난 뒤 권1이 시작된다. 서문에서 '(*옛한글)우리 션종대왕계오셔 몸 다스리는 법으로 ㅄㅓ 뭇 사람 건지는 어질믈 밀위샤 의학에 마음을 두시고 백셩의 셩을 지념하샤 병신년간(1596년, 선조 29)의 명하샤 태의 신 허준을 브라샤 하교왈(*옛한글)"이라 하고 있다. 또 '(*옛한글)쥰이 믈너가 션배 의원에 뎡쟉과 태의에 양녜슈와 김응탁 니명원 뎡녜냠 등으로 더브러 ㅽㅏ 모도여 대강을 닐위더니(*옛한글)' 라고 한 것을 보면 1596년 [[허준]]이 [[선조]]의 명을 받아 유의(儒醫:선비이면서 의학에도 조예가 깊은 사람) [[정작|정작(鄭碏)]], 태의 [[양예수|양예수(陽醴壽)]], [[김응탁|김응탁(金應鐸)]] [[이명원|이명원(李命源)]], [[정예남|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동의보감]]』을 편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유재란으로 편찬이 중단되었다. 서문에서 '(*옛한글)허쥰의게 하교하샤 혼자 챤셩하라(*옛한글)'라고 하고 있는 것을 통해 허준이 『동의보감』편찬을 다시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옛한글)셩샹계오셔 즉위하신지 삼년 경술(1610년, 광해군 3) 쥰이 비로소 역사를 밧쳐 진어 하매 뎨목을 동의보감이라 하니 므랏 이십오권이라 … 또 뎨 됴신 니뎡귀랄 명하샤 셔문을 지어 책 머리에 더하라 … 만력 사십일년(1613년) 십일월 일 내의원 봉교간행(*옛한글)' 라고 한 것으로 보아 서문은 1613년 니뎡귀에 의해 쓰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85쪽</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4월 7일 (금) 12:42 판

동의보감내경편언해
한글팀 동의보감내경편언해 01 동의보감내경편언해 메인.jpg
한자명칭 東醫寶鑑內景篇諺解
영문명칭 A Korean annotated copy of Heo Jun’s Donguibogam (Principles and Practice ofEastern Medicine)
작자 미상
작성시기 19세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327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34.8×23㎝
판본 필사본
수량 3冊
표기문자 한글


정의

허준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內景篇」언해

내용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東醫寶鑑』의 「내경편內景篇」을 언해하여 필사한 책이다. 한문본은 총 25권 25책의분량인데, 그중 「내경편」 권1·2를 언해한 것만 남아있다. 앞에 전체의 목차를 한글로 옮긴 것으로 미루어 당초 전체를 언해할 목적이었으나 어떤 사정에의해 「내경편」만 언해한 것으로 추정된다. 언해 시기와 언해 담당자는 분명하지 않다. 장서각 유일본으로, 종이나 장정으로 보아 왕실에서 편찬한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전체를 언해하여 일반 백성에게 보급하기 위한 목적보다는 의녀醫女 등이 왕실에서 『동의보감』을 습득하고 활용하려는 목적에서 언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부연설명

장서각 소장 『동의보감내경편언해』는 권1, 3, 5로 총 3책이 소장되어 있다.(도록의 내용 오류) 표기방식이 18세기 중반 이후 부터 19세기 초반까지의 특징과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과 어휘·문법적 특징이 19세기 중반과 일치하는 점으로 보아 이 책이 19세기 중반이나 그 이후에 언해(한글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축자역(원문 그대로를 해석)의 방식로 언해된 점, 약명이 향약명(우리말명)이 아닌 한자어 그대로를 사용했다는 점, 어려운 한자어가 많이 쓰였다는 점 등을 고려해볼때 이 책은 백성을 위해 언해되었기 보다는 전문지식(궁궐 의녀 등)을 갖춘 사람들을 위해 언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동의보감서동의보감총목이 제시되고 난 뒤 권1이 시작된다. 서문에서 '(*옛한글)우리 션종대왕계오셔 몸 다스리는 법으로 ㅄㅓ 뭇 사람 건지는 어질믈 밀위샤 의학에 마음을 두시고 백셩의 셩을 지념하샤 병신년간(1596년, 선조 29)의 명하샤 태의 신 허준을 브라샤 하교왈(*옛한글)"이라 하고 있다. 또 '(*옛한글)쥰이 믈너가 션배 의원에 뎡쟉과 태의에 양녜슈와 김응탁 니명원 뎡녜냠 등으로 더브러 ㅽㅏ 모도여 대강을 닐위더니(*옛한글)' 라고 한 것을 보면 1596년 허준선조의 명을 받아 유의(儒醫:선비이면서 의학에도 조예가 깊은 사람) 정작(鄭碏), 태의 양예수(陽醴壽), 김응탁(金應鐸) 이명원(李命源), 정예남(鄭禮男) 등과 함께 『동의보감』을 편찬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유재란으로 편찬이 중단되었다. 서문에서 '(*옛한글)허쥰의게 하교하샤 혼자 챤셩하라(*옛한글)'라고 하고 있는 것을 통해 허준이 『동의보감』편찬을 다시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옛한글)셩샹계오셔 즉위하신지 삼년 경술(1610년, 광해군 3) 쥰이 비로소 역사를 밧쳐 진어 하매 뎨목을 동의보감이라 하니 므랏 이십오권이라 … 또 뎨 됴신 니뎡귀랄 명하샤 셔문을 지어 책 머리에 더하라 … 만력 사십일년(1613년) 십일월 일 내의원 봉교간행(*옛한글)' 라고 한 것으로 보아 서문은 1613년 니뎡귀에 의해 쓰였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3]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동의보감내경편언해 인물 허준
동의보감내경편언해 개념 동의보감
동의보감내경편언해 개념 내경편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세기 동의보감내경편언해이 필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197 127.054387 장서각동의보감내경편언해가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 논문
    1. 옥영정,「동의보감 초간본의 현황과 한글본 동의보감의 특징」, 『동의보감 국제학술 심포지엄』, 한국한의학연구원·한국의사학회 공동주관, 2011.
  • 온라인
    1. '동의보감내경편', 『장서각』,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5쪽.
  2. 이래호, 「장서각 소장 한글 필사본『동의보감 내경편』의 국어학적 고찰」, 『장서각』21, 2009, 198쪽/
  3. 『장서각한글자료해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0, 8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