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불정수능엄경 권2 (해독)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3월 16일 (목) 01:0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Pici.png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대불정수능엄경 권2 (해독)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대불정수능엄경 03.JP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卷第二 溫陵 開元蓮寺 比丘 戒環 解 二發明覺性眞使造悟三 初經家敍意(깨달음의 성품을 밝혀 곧바로 깨달음에 나아가도록 함. 첫째 경가가 그 뜻을 서술함)
爾時阿難과 及諸大衆이 聞佛示誨고 身心이 泰然야 念無始來예 失却本心고 妄認緣塵3)分別影事다니 今日에 開悟호미 如失乳兒ᅵ 忽遇慈母두다고 合掌禮佛와 願聞如來ᅵ 顯出身心의 眞妄虛實와 現前엣 生滅와 與不生滅사 二發明性더니
그·4) 阿·難난·과 모·5) 大·땡衆··이 부텻6):뵈·야 ·치샤·7) 듣:·고8) ·몸·과 ·괘9) 便뼌安··야 念·념·호·10) 無뭉始:싱브·터 :오·매本:본來ㅅ · 일·코 드트·레11) 브·터 分분別···논 그리·멧12) :이· 외·오13) :아다·니14)오·나·래 아·로·미15) ·졋 일·흔16) 아·17) 믄·득 慈母: 맛:남 ·도·다·고 合·掌:··야 부텨· 禮:롕數·숭··와18) 如來ㅣ 身신心심·의 眞진妄·虛헝實··와 現·前쪈·엣 生滅··와 不生滅··와· 나·토·아19) :내·샤 :두 가·짓 發·明··샨20) 性··을 듣:·고·져 願··더·니 그때 아난과 모든 대중이 부처를 뵈어 가르치심을 듣고 몸과 마음이 편안하여 생각하되, 무시(시작이 없는 아득한 과거)부터 옴에 본래 마음을 잃고 티끌에 붙어 분별하는 그림자의 일을 그릇 알더니, 오늘날에 앎이 젖을 잃었던 아이가 문득 자모를 만남 같도다 하고 합장하여 부처님께 예배하고 여래께서 몸과 마음의 참되고 허망함과 헛되고 진실함과 눈 앞의 생멸과 생멸하지 않음을 나타내시어 두가지 발명하신 성을 듣잡고자 원하였다.
敍衆心이 惑悟야 冀佛發明也니라 前에 責샤 以動로 爲身며 以動로 爲境이라 시니 則身心眞妄을 未辨虛實이며 又責샤 念念生滅야 遺失眞性이라시니 則不生滅者 亦未能辨故로 願顯出二義야 庶幾發明也니라
○衆··의 ·미 感:감··야 아·라 부텻 發·明 ··라·오·21) 펴·니·라 알·22) 責··샤·23) 動:··로 ·몸 사··며24) 動:··로 境: :삼·니·라 ·시·니 身신心심·의 眞진實··며 妄··호· 虛헝·와 實··와· ··디25) :몯·며 · 責··샤· 念·념念·념·이 生滅···야 眞진實· 性··을 일·니·라26) ·시·니 生滅· 아·니 ·· 거·슬 · 能·히 ··디 :몯··논 젼··로27) :두 ··들28) 나·토·아 :내샤·29) 願···와 發·明·을 ··라·오니·라30) 대중의 마음이 감하여 알고, 부처님의 발명을 바라는 것을 편 것이다. 앞에 책하시되 움직임으로써 몸을 삼으며 동으로써 경 삼는 것이라 하시니, 심신이 진실하며 허망함을, 헛됨과 진실함을 가리지 못하며 또 책하시되, 생각마다 생멸하여 진실한 성품을 잃는 것이라고 하시니 생멸 아니하는 것을 또 능히 가리지 못하는 까닭으로 두 뜻을 나타내심을 원하여 발명을 바라는 것이다.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