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4일 (월) 16:02 판 (작품 소재)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학술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중앙에서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김정호대동여지도를 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으로 제작하였는데,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여 병풍처럼 접고 펼 수 있도록 한 것이다.[1] 지리산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

작품 중앙에 위치한 나무 탁자 위에는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이다.[4]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그림 읽기

김정호대동여지도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지리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청구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대동여지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청구도 청구도제 A는 B를 포함한다
김정호 청구도제 A는 B에 언급되었다
최한기 청구도제 A는 B를 저술하였다
김정호 최한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김정희 최한기 A는 B의 스승이다
김정호 김정희 A는 B와 관련이 있다
김정희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신헌 금당초고 A는 B를 저술하였다
김정호 금당초고 A는 B에 언급되었다
김정호 오주연문장전산고 A는 B에 언급되었다
오주연문장전산고 언해두창집요 A는 B에 언급되었다
허준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저술하였다
김정호 이향견문록 A는 B에 언급되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김태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1834년 김정호청구도를 제작하였다
1861년 김정호대동여지도를 제작하였다
1991년 3월 1일 강학태대동여지도(소설)를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3608313 127.3832193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이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을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추후 제작 및 삽입 예정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정호는...한 것이다."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대동여지도_18첩4면",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 "대동여지도_18첩3면",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 작품의 배경은 해당 작품의 소장처인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서 확인할 수 있었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목제 곱자", 『문화원형 라이브러리』online, 문화콘텐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