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1번째 줄: 1번째 줄:
{{작품정보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대표명칭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민족기록화_샘플
|DB유형 = 민족기록화
+
|사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품명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작품명=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작가 = [[김태]]
+
|작가= [[김태]]
|제작연도 = 1979년
+
|제작연도= 1979년
|규격 = 290.9x197cm(300호)
+
|규격= 300호(290.9x197cm)
|분류 = 유화
+
|유형= 조선
|소장처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분류= 유화
|image =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필드수=7
 
}}
 
}}
 +
<span style="color: red">기존의 틀을 사용하지 않고, 민족기록화 작품 자체를 잘보여줄 수 있는 틀에 대한 고민필요
 +
=='''작품'''==
 +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진주성싸움'''은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5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강대운]] 화백의 작품이다.<br/>
 +
민족기록화 전승편 20작품 중 하나로, [[임진왜란]] 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이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을 지휘하여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담은 그림이다.<br/>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김태]] 화백의 작품으로,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br/>
 +
<span style="color: red">''mascheck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플래시에 대한 고민 -> 원래는 mascheck를 이용하였으나, 기술적 논의 후 민족기록화에 그려진 노드를 클릭하여 해당 노드 위키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프래쉬를 넣고자 함'' -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작품 살펴보기'''==
+
=='''형식'''==
<imagemap>
+
일반적인 민족기록화의 경우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는 장면이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800px
+
오른편에는 불길에 휩싸여 말 발굽에 치이는 반라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왼편 하단에는 적병의 시신이 겹겹이 쓰러져 있는 모양을 짙은 색으로, 불화살 공격으로 화염속에 타들어 가는 왜병들의 모습을 붉은 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그림 전체에서 왜군들은 반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rect 488 125 528 355 [[김정호]]
+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rect 378 202 459 253 [[대동여지도]]
+
</imagemap>
+
그림의 상단의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대나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는 왜군을 향해 끊는 물을 붓고 화살을 아끼기 위하여 돌을 던지는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span style="color: red">''maschek를 사용하여 작품내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노드에 링크를 걸어주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김정호와 제작하는 지도를 누르면 '김정호', '대동여지도' 위키로 이동합니다.''
 
 
 
=='''작품소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김태]] 화백의 작품으로,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제작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
<span style="color: red">''11월 8일 교수님 조언대로,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하고, 작품의 배경지식 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을 담고자 함. / <span style="color: black">김정화 교수님<span style="color: red">께 민족기록화의 회화성에 대해 조언을 얻고자 함''
  
<span style="color: red">''11월 8일 교수님 조언대로,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하고, 작품의 배경지식 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에 충실하고자 하였습니다. 다만, 이 작품은 그와 관련된 자료가 없어서 작품을 보고 1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들만 작품소개에 집어 넣었습니다.''
+
=='''관련 민족기록화'''==
 +
조선시대 배경 작품
 +
<gallery>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gallery>
  
=='''관계망 데이터베이스'''==
+
=='''추출정보'''==
 +
===작품정보 연결망===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장동룡/진주성싸움.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노드 및 관계'''==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노드 || 관계 ||클래스|| 노드 || 설명
+
! 노드 || 관계 || 노드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isLocatedIn ||소장처||[[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소장처이다.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에 의해 그려지다 ||[[김태]]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isCreatedBy ||작가||[[김태]] || [[김태]]는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작가이다.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isBasedOn ||인물||[[김정호]] || [[김정호]]는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소재이다.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를 소재로 한다 ||[[김정호]]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isBasedOn ||기록||[[대동여지도]] || [[대동여지도]]는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소재이다.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를 소재로 한다 ||[[대동여지도]]
 
|}
 
|}
 
=='''관련항목'''==
 
 
  
 
=='''참고문헌'''==
 
=='''참고문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추가자료'''==
 
  
 
=='''각주'''==
 
=='''각주'''==
  
[[분류:민족기록화]]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
[[분류:작품]]
 

2017년 1월 24일 (화) 01:00 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조선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기존의 틀을 사용하지 않고, 민족기록화 작품 자체를 잘보여줄 수 있는 틀에 대한 고민필요

작품

진주성싸움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5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강대운 화백의 작품이다.
민족기록화 전승편 20작품 중 하나로, 임진왜란 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이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을 지휘하여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담은 그림이다.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태 화백의 작품으로,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mascheck 대신 사용할 수 있는 플래시에 대한 고민 -> 원래는 mascheck를 이용하였으나, 기술적 논의 후 민족기록화에 그려진 노드를 클릭하여 해당 노드 위키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프래쉬를 넣고자 함 -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형식

일반적인 민족기록화의 경우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는 장면이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 오른편에는 불길에 휩싸여 말 발굽에 치이는 반라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왼편 하단에는 적병의 시신이 겹겹이 쓰러져 있는 모양을 짙은 색으로, 불화살 공격으로 화염속에 타들어 가는 왜병들의 모습을 붉은 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그림 전체에서 왜군들은 반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의 상단의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대나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는 왜군을 향해 끊는 물을 붓고 화살을 아끼기 위하여 돌을 던지는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1월 8일 교수님 조언대로,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하고, 작품의 배경지식 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을 담고자 함. / 김정화 교수님께 민족기록화의 회화성에 대해 조언을 얻고자 함

관련 민족기록화

조선시대 배경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에 의해 그려지다 김태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를 소재로 한다 김정호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를 소재로 한다 대동여지도

참고문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