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소개)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작품정보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대표명칭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민족기록화_샘플
|DB유형 = 민족기록화
+
|사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품명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작품명=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작가 = [[김태]]
+
|작가= [[김태]]
|제작연도 = 1979년
+
|제작연도= 1979년
|규격 = 290.9x197cm(300호)
+
|규격= 300호(197x290.9cm)
|분류 = 유화
+
|유형= 학술
|소장처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분류= 유화
|image =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필드수=8
 
}}
 
}}
 +
=='''정의'''==
 +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작품 살펴보기'''==
+
=='''설명'''==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right|450px]]
 +
[[김정호|김정호(金正浩, 1804추정~1866추정)]]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ref>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ref>으로『[[대동여지도|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제작하였다.<ref>"김정호는...한 것이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ref> 본 그림의 배경인 [[지리산]]을 예로 들면 [[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gallery>
 +
 
 +
작품 중앙에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⑤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③ [[천리경|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으로 추정된다.<ref>작품 오른쪽 하단에 세로로  "지리산에서의 김정호"라고 명시되어 있다.</ref>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
 
 +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800px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800px|center
 
rect 488 125 528 355 [[김정호]]
 
rect 488 125 528 355 [[김정호]]
 
rect 378 202 459 253 [[대동여지도]]
 
rect 378 202 459 253 [[대동여지도]]
 
</imagemap>
 
</imagemap>
  
''maschek를 사용하여 작품내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노드에 링크를 걸어주었습니다''
+
=='''지식 관계망'''==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김정호의 대동여지도(김태)"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0/C04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지리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대동여지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청구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청구도]] || [[청구도제]]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청구도제]] || [[최한기]] || A는 B가 썼다 || A dcterms:creator B
 +
|-
 +
| [[최한기]]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김정희]] || [[최한기]]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최한기]] || [[지구전후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지구전후도]] || [[김정호]]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금당초고]] ||  [[김정호]]||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금당초고]]  ||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신헌]] || [[김정호]]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신헌]] || [[최한기]]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김정희]]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정약용]] || [[신헌]]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정약용]] || [[의순]]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신헌]] ||  [[의순]]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의순]] || [[김정희]]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작품소개'''==
+
===시간정보===
‘민족기록화’는 우리 민족사의 주요 사건들을 사실적 화풍으로 그려낸 회화적 형태의 기록물로, 박정희 대통령 집권기인 1967년부터 1979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그려진 그림들입니다. 1967년부터 79년 사이에 그려진 106점의 민족기록화를 대상으로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민족기록화 사업은 1967년 4월 민주공화당 의장이었던 김종필의 제안에 의해 박정희 정권시기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습니다.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9년 || [[김태]]가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그렸다
 +
|-
 +
| 1861년 || [[김정호]]가 목판본 22첩 [[대동여지도]]를 간행하였다
 +
|-
 +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김태]] 화백의 작품으로,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
===공간정보===
해당 작품 속 인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로, 그는 14세기 중엽 왜구가 창궐하자 화약의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수입에 의존하던 화약 제조와 총기 제작의 국산화를 결심했다.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6.3608313 || 127.3832193||[[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소장하고 있다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학술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박득순-동의보감(허준)-1978s.jpg|1539-1615년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파일:정창섭-다산초당(정약용)-1979s.jpg|1762-1836년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1866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gallery>
  
''작품 자체의 기사 형식에 대해서 who? 최대섭이/when? 1979년 이라는 시간적 배경 / what? 최무선의 화약공방: 작품의 소재에 대하여 명시/ where? 만약 공간이 드러나 있다면 그 공간을 적어주기/ how? why? 이 그림을 어떤 방식으로, 왜 그렸는지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명시해 주기''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535px"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5/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1108 교수님 말씀 :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 +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에 충실하게. (예를들어 최무선은, 여기 가운데 사람이 최무선이고, 지금 ??을 만들고 있는 모습이다 등등...)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4면.jpg|[[대동여지도]] 18첩4면 맨 오른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B&c3=B2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_18첩3면.jpg| [[대동여지도]] 18첩3면 맨 왼쪽 중간에 그려진 [[지리산]] [[천왕봉]]<ref>"[http://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1&c2=H&c3=H0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지리지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
</gallery>
  
작품의 배경지식은 어차피 데이터관계망이나 하이퍼 링크로 다 들어가므로. 배경지식보다는 작품 자체! 에 초점을..''
+
===영상===
  
 +
=='''주석'''==
 +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 이기봉,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김정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19일.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대동여지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308&index_id=cp03080116&content_id=cp030801160001&search_left_menu=2 목제 곱자]", 조선후기 시장,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1861년(철종 12) 고산자(古山子)김정호(金正浩)가 편찬·간행하고 1864년(고종 1)에 재간한 분첩절철식(粉帖折疊式)의 전국 지도첩.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개설
 
 
 
보물 제850-1호. 일반적으로 호칭되는 목판본의『대동여지도』22첩(帖)은 조선 후기의 지리학자 김정호가 1861년에 편찬·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전국 지도첩이다. 최근 김정호의 지도 중 이름이 같으면서 내용이 다른 지도첩이 새롭게 조사되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필사본의『동여(東輿)』 14첩은 1층에 큰 글씨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라고 쓰여 있고, 국립중앙도서관에는 필사본의『대동여지도』 18첩이 남아 있기도 하다. 따라서 앞으로는『대동여지도』라는 이름 앞에 ‘목판본 22첩’, ‘필사본 14첩’, ‘필사본 18첩’이란 수식어를 붙여 구분해 주어야 하는 필요성이 생겼다.
 
 
 
1861년에 간행된 것은 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과 서울역사박물관의 2본이 각기 보물 850-1호와 보물 850-2호로, 1864년에 간행된 것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의 1본이 보물 850-3호로 지정되어 있다. 판목이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1매, 국립중앙박물관에 11매가 남아 있어 일제강점기 이후 이야기되었던 판목소각설은 잘못된 것임이 드러났다.
 
 
 
목판본『대동여지도』 22첩은 우리나라 전체를 남북 120리 22층으로 나누고 동서 80리 간격으로 19판(版)으로 각 층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를 각각 1권의 책으로 접어서 엮었다. 1첩 한 면의 남북 길이가 약 30㎝이기 때문에 22첩을 모두 연결하면 세로 약 6.6m, 가로 4.0m에 이르는 초대형 조선전도가 된다. 크기 때문에 휴대와 열람에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여 병풍처럼 접고 펼 수 있게 한 것이다. 책으로 제본된 이전 시기의 지도와는 달리 첩을 펼쳐서 상하·좌우로 연결시켜 볼 수 있도록 고안된 지도로서의 특수성이 있다.
 
 
 
현재 20본 안팎이 전해지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데, 미국의 밀워키대학교 도서관 등 외국에서도 속속 발굴되고 있어 향후 더 많아질 가능성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동여지도 [大東輿地圖]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망 데이터베이스'''==
 
내꺼 수정해서 넣어주자!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class="wikitable"
 
! 노드 || 관계 || 노드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에 소장되어 있다||[[한국학중앙연구원]]
 
|-
 
|[[최대섭]]||~을 그렸다||[[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을 소재로 한다||[[최무선]]
 
|}
 
 
 
=='''관련항목'''==
 
=='''각주'''==
 
 
 
=='''참고문헌'''==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민족문화대백과사전 "김정호"]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품]]
 

2024년 3월 14일 (목) 14:34 기준 최신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작가 김태
제작연도 1979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학술
분류 유화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정의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지리산에서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은 김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김정호(金正浩, 1804추정~1866추정)는 전국을 동서와 남북 각각 80리와 120리의 동일 간격으로 나누어 최북단의 1층부터 최남단의 22층까지 22첩으로 분리하여 수록하는 방식[1]으로『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제작하였다.[2] 본 그림의 배경인 지리산을 예로 들면 대동여지도 18첩 3면과 18첩 4면에 그려져 있다.

작품 중앙에 붓을 들고있는 사람이 ②⑤ 김정호로, 실제 관측을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나무 탁자 위에는 목제 곱자가 놓여져 있는데, 곱자는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목공도구로, 서로 다른 2개의 나무를 맞추어 ㄱ자 모양으로 만든 자이다.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千里鏡:지금의 망원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지리산으로 추정된다.[5] 김정호는 봉우리와 능선을 따라 산줄기를 이어 그렸는데,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지리산에서 끝나는 백두대간(白頭大幹)을 하나의 줄기로 표기하였다.

그림 읽기

김정호대동여지도김태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1979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지리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대동여지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청구도 청구도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청구도제 최한기 A는 B가 썼다 A dcterms:creator B
최한기 김정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정희 최한기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최한기 지구전후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구전후도 김정호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금당초고 김정호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금당초고 신헌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신헌 김정호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신헌 최한기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김정희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신헌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정약용 의순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신헌 의순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의순 김정희 A는 B와 교유하였다 A foaf:know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9년 김태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그렸다
1861년 김정호가 목판본 22첩 대동여지도를 간행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3608313 127.3832193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소장하고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22첩의 병풍식(또는 절첩식)
  2. "김정호는...한 것이다."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3.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 작품 오른쪽 하단에 세로로 "지리산에서의 김정호"라고 명시되어 있다.
  6. "대동여지도_18첩4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 "대동여지도_18첩3면", 읍지속의 지도모음, 『지리지 종합정보』online,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이기봉,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8월 19일.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9월 6일.
    • "목제 곱자", 조선후기 시장,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