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물정보
 
{{인물정보
 
|사진= 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1 민백.jpg
 
|사진= 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1 민백.jpg
|사진출처= 한국민족대백과
+
|사진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표명칭= 김수항
 
|대표명칭= 김수항
 
|한자표기= 金壽恒
 
|한자표기= 金壽恒
16번째 줄: 16번째 줄:
 
|시대 = 조선
 
|시대 = 조선
 
|국적=
 
|국적=
|대표저서= [[문곡집]]
+
|대표저서= [[문곡집|『문곡집』]]
 
|대표직함= 영의정, 우의정, 예조판서, 형조참판, 이조정랑
 
|대표직함= 영의정, 우의정, 예조판서, 형조참판, 이조정랑
 
|배우자= [[나성두]]의 딸 안정 나씨
 
|배우자= [[나성두]]의 딸 안정 나씨
25번째 줄: 25번째 줄:
 
|후임자=  
 
|후임자=  
 
|상훈=  
 
|상훈=  
|능묘=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
|능묘=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 11번지
 
|성격= 인물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유형= 백관
 
}}
 
}}
  
==정의==
+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노론의 중진이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ref>기사환국(己巳換局): 1689년(숙종 15) 남인이 희빈 장씨의 소생인 원자를 세자로 책봉하는 문제로 서인을 축출하고 집권한 사건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1332&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기사환국]</ref> 때 사사되었다.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도제조,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도제조, [[인경왕후국장도감의궤]]총호사, 『[[인경왕후빈전도감의궤]]』 총호사, 『[[인경왕후익릉산릉도감의궤]]』 총호사, 『[[인경왕후혼전도감의궤]]』 총호사, 『[[정종정안왕후시호도감의궤]]』 도제조, [[정종후릉수개도감의궤]]』 도제조, 『[[정종후릉수개도감의궤]]』 제조, 『[[태조신의왕후태종원경왕후시호도감의궤]]』 도제조, 『[[현종빈전도감의궤]]』 총호사, 『[[현종숭릉산릉도감의궤]]』 총호사, 『[[현종혼전도감의궤]]』 총호사를 역임하였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수항]</ref>
+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
 
 +
=='''내용'''==
 +
조선 중기 노론의 중진이었으며 [[기사환국|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賜死)되었다.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도제조<ref>"[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도제조, [[인경왕후국장도감의궤|『인경왕후국장도감의궤』]] 총호사<ref>"[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인경왕후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현종빈전혼전도감의궤|『현종빈전혼전도감의궤』]] 총호사<ref>"[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현종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규장각』<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를 역임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내용==
 
 
===관직===
 
===관직===
1646년(인조 2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1(효종 2) 알성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어 병조좌랑, 지평, 정언 등을 거쳐 1653년(효종 4) 서장관으로 청에 다녀왔다. 1659(현종 즉위년)에는 효종릉비의 전서를 써서 가선대부에 올랐고, 도승지, 이조참판, 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육조의 판서를 두루 거쳤는데, 이조판서에 있을 때 서인 명사들을 조정에 천거했다. 1672년(현종 13) 우의정에 발탁되어 곧 좌의정으로 승진하였고 세자부를 겸했다. 예송에서는 송시열과 입장을 함께 하였다. [[숙종]] 즉위 후에 당쟁으로 영암에 유배되었다가 1678년(숙종 4) 철원으로 이배되었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ref>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서인들이 허견(許堅)과 복창군(福昌君)ㆍ복선군(福善君)ㆍ복평군(福平君)이 역모를 계획하였다고 고발하여 일어난 사건이다. 허적 일가와 윤휴가 처형되고 남인들이 축출되었으며, 서인이 다시 정권을 잡았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209&cid=42957&categoryId=42957 한국고중세사사전 경신대출척]</ref>으로 남인들이 실각하자 다시 영의정이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탄핵을 받아 위리안치(圍籬安置)<ref>위리안치(圍籬安置): 유배된 죄인이 도망치지 못하도록 유배간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만드는 형벌이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270&cid=41826&categoryId=41826 한국고전용어사전 위리안치]</ref> 되었다가 사사되었다. 노론에게는 남인의 역모를 꺾어 조정의 기강을 유지했고, 소론에 휩쓸리지 않고 의리를 지켰으며 화를 당했을 때도 후회하지 않았고, 선비의 길을 밝혀 사문에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소론에게는 [[윤증]]을 비난하여 사림을 분열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수항]</ref>  
+
1646년(인조 2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1(효종 2) 알성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어 병조좌랑, 지평, 정언 등을 거쳐 1653년(효종 4) 서장관으로 청에 다녀왔다. 1659(현종 즉위년)에는 효종릉비의 전서를 써서 가선대부에 올랐고, 도승지, 이조참판, 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육조의 판서를 두루 거쳤다. 이조판서로 있을 때 서인 명사들을 조정에 천거했다. 1672년(현종 13) 우의정에 발탁되어 곧 좌의정으로 승진하였고 세자부를 겸했다. 예송에서는 송시열과 입장을 함께 하였다. [[숙종]] 즉위 후에 당쟁으로 영암에 유배되었다가 1678년(숙종 4) 철원으로 이배되었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209&cid=42957&categoryId=42957 경신대출척]",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으로 남인들이 실각하자 다시 영의정이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탄핵을 받아 위리안치(圍籬安置)<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270&cid=41826&categoryId=41826 위리안치]", 한국고전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되었다가 사사되었다. 노론에게는 남인의 역모를 꺾어 조정의 기강을 유지했고, 소론에 휩쓸리지 않고 노론에 대한 의리를 지켰으며 화를 당했을 때도 후회하지 않았고, 선비의 길을 밝혀 사문에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소론에게는 [[윤증]]을 비난하여 사림을 분열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학문===
 
===학문===
[[김상헌]]의 손자로 가학을 계승하였고 [[송시열]]과 학문적 입장을 같이 했다. 노론과 소론이 분열할 때 [[송시열]]을 옹호하고 [[윤증]]을 비판하여 소론에게는 배척을 받았다. 시문에 뛰어났고 변려문(騈儷文)에 탁월하였으며, 해서와 초서를 잘 썼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수항]</ref>  
+
[[김상헌]]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였고 [[송시열]]과 학문적 입장을 같이 했다. 노론과 소론이 분열할 때 [[송시열]]을 옹호하고 [[윤증]]을 비판하여 소론에게는 배척을 받았다. 시문에 뛰어났고 변려문(騈儷文)에 탁월하였으며, 해서와 초서를 잘 썼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사후===
 
===사후===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에 묘가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322222&cid=40942&categoryId=33690 두산백과 김수항묘와 묘갈</ref> 1694년(숙종 20)년 복권되었고,<ref>『숙종실록』 26권, 숙종 20년 4월 2일 기사 7번째 기사, 고 상신 김수흥·조사석을 복관하고 사제하게 하다</ref> [[녹동서원]], [[석실서원]], [[옥병서원]]에 배향되었다. 1725년(영조 1) 시호를 받았고,<ref>『영조실록』 4권, 영조 1년 3월 12일 경술 3번째 기사, 시민당의 조강·주강·석강에 나가고, 옥사와 관련한 이들에 대한 처벌을 논하다</ref> 1868년(고종 23)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ref>『고종실록』 23권, 고종 23년 11월 17일 병오 3번째 기사, 빈청에서 묘정에 배향할 공신의 망단자를 아뢰다</ref>
+
1694년(숙종 20)년 복권되었고,<ref>『숙종실록』 권26, 숙종 20년(1694) 4월 2일(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sa_12004002_007 고 상신 김수흥·조사석을 복관하고 사제하게 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녹동서원]], [[석실서원]], [[옥병서원]]에 배향되었다. 1725년(영조 1) 시호를 받았고,<ref>『영조실록』 권4, 영조 1년(1725) 3월 12일(경술), [http://sillok.history.go.kr/search/inspectionDayList.do 시민당의 조강·주강·석강에 나가고, 옥사와 관련한 이들에 대한 처벌을 논하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1868년(고종 23)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ref>『고종실록』 권23, 고종 23년(1886) 11월 17일(병오), [http://sillok.history.go.kr/id/kza_12311017_003 빈청에서 묘정에 배향할 공신의 망단자를 아뢰다],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ref>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에 묘가 있다.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수항]]||[[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A는 B의 아버지이다 ||  
+
| 김수항 ||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 A는 B의 담당자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광찬]] || 김수항||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김광찬]]||[[김수항]]||A는 B의 아버지이다 ||  
+
| [[김래]] ||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래]]||[[김수항]]||A는 B의 외조부이다 ||  
+
| [[연안 김씨]] || 김수항 ||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연안 김씨]]||[[김수항]]||A는 B의 어머니이다 ||  
+
| [[나성두]] || 김수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나성두]]||[[김수항]]||A는 B의 장인이다 ||  
+
| 김수항|| [[안정 나씨]] || A는 B의 남편이다 || A ekc:hasWife B
 
|-
 
|-
| [[안정 나씨]]||[[김수항]]||A는 B의 아내이다 ||  
+
| 김수항 || [[김창집]]||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김창집]]||[[김수항]]||A는 B의 장남이다 ||  
+
| 김수항 || [[김창협]]||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김창협]]||[[김수항]]||A는 B의 차남이다 ||  
+
| 김수항 || [[김창흡]]||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김창흡]]||[[김수항]]||A는 B의 삼남이다 ||  
+
| 김수항 || [[김창업]]||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김창업]]||[[김수항]]||A는 B의 사남이다 ||  
+
| 김수항 || [[김창즙]]|| A는 아들 B를 두었다  || A ekc:hasSon B
 
|-
 
|-
| [[김창즙]]||[[김수항]]||A는 B의 오남이다 ||  
+
| [[효종릉비전서]] || 김수항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수항]] || [[효종릉비전서]]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659
+
| [[갑진북정록]] || 김수항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수항]] || [[갑진북정록]] || A는 B를 저술하였다 || 1664
+
| [[문곡집]] || 김수항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김수항]] || [[문곡집]] || A는 B를 저술하였다 ||  
+
| [[녹동서원]] ||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녹동서원]] || [[김수항]] || A는 B에 배향되었다 ||  
+
|[[석실서원]] ||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석실서원]] || [[김수항]] || A는 B에 배향되었다 ||  
+
|[[옥병서원]] ||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옥병서원]] || [[김수항]] || A는 B에 배향되었다 ||  
+
| 김수항 || [[백관]] ||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
 
|}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1681년 || 김수항은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의 도제조로 참여했다
 +
|}
 +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37.606439 || 127.204758 || 김수항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11에 위치한다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50px>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1 민백.jpg| 김수항 초상.<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644_000_3%2F20150325000045376_BTZUXYJ69.jpg%2Fce400e63-6b4b-48.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query=&categoryId=46622&docId=552573&authorId=&mode=simple%7C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수항 초상]</ref>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2 김수항묘 두산백과.jpg | 김수항 묘.<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765_000_243%2F20131030124631379_Y31N9EG8N.jpg%2F4343434.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query=&categoryId=33690&docId=1322222&authorId=&mode=simple%7C 김수항 묘]",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2 김수항묘 두산백과.jpg | 김수항 묘.<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765_000_243%2F20131030124631379_Y31N9EG8N.jpg%2F4343434.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query=&categoryId=33690&docId=1322222&authorId=&mode=simple%7C 두산백과 김수항 묘]</ref>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3 석실서원 민백.jpg|석실서원<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765_000_85%2F20131022103610595_8HCKL9BF0.jpg%2F713931.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query=&categoryId=31732&docId=1225822&authorId=&mode=simple%7C 석실서원]",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3 석실서원 민백.jpg|석실서원<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765_000_85%2F20131022103610595_8HCKL9BF0.jpg%2F713931.jpg%3Ftype%3Dm4500_4500_fst%26wm%3DN&query=&categoryId=31732&docId=1225822&authorId=&mode=simple%7C 두산백과 석실서원]</ref>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4 옥병서원 민백.jpg| 옥병서원.<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644_000_15%2F20150401045231088_7JLFN7WO5.jpg%2F5b401376-21cf-44.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query=&categoryId=46615&docId=568593&authorId=&mode=simple%7C 옥병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4 옥병서원 민백.jpg| 옥병서원.<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644_000_15%2F20150401045231088_7JLFN7WO5.jpg%2F5b401376-21cf-44.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query=&categoryId=46615&docId=568593&authorId=&mode=simple%7C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옥병서원]</ref>
+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5 녹동서원 민백.jpg | 녹동서원.<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644_000_1%2F20161005154322680_EQ27TFXJY.jpg%2F58afd0d8-3f98-4c.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query=&categoryId=46615&docId=533772&authorId=&mode=simple%7C 녹동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파일:궁중기록화 인물 백관 김수항05 녹동서원 민백.jpg | 녹동서원.<ref>[http://terms.naver.com/imageDetail.nhn?imageUrl=http%3A%2F%2Fdbscthumb.phinf.naver.net%2F2644_000_1%2F20161005154322680_EQ27TFXJY.jpg%2F58afd0d8-3f98-4c.jpg%3Ftype%3Dm935_fst_nce%26wm%3DY&query=&categoryId=46615&docId=533772&authorId=&mode=simple%7C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녹동서원]</ref>
 
 
</gallery>
 
</gallery>
  
===영상===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 『인조실록』
 
* 『인조실록』
111번째 줄: 123번째 줄:
 
* 『한국계행보』
 
* 『한국계행보』
 
* 『문곡집』
 
* 『문곡집』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김수항]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72610&cid=40942&categoryId=33383 두산백과 김수항]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52573&cid=46622&categoryId=46622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인물]] [[분류:백관]]
[[분류:인물]]
 

2017년 10월 28일 (토) 21:51 기준 최신판

김수항(金壽恒)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표명칭 김수항
한자표기 金壽恒
생몰년 1629년-1689년
본관 안동(安東)
시호 문충(文忠)
문곡(文谷)
구지(久之)
시대 조선
대표저서 『문곡집』
대표직함 영의정, 우의정, 예조판서, 형조참판, 이조정랑
배우자 나성두의 딸 안정 나씨
동지중추부사 김광찬
청주목사 김래의 딸 연안 김씨
자녀 영의정 김창집, 예조판서 김창협, 집의 김창흡, 김창업, 주부 김창즙
능묘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 11번지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내용

조선 중기 노론의 중진이었으며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사사(賜死)되었다.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도제조[1],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도제조, 『인경왕후국장도감의궤』 총호사[2], 『현종빈전혼전도감의궤』 총호사[3]를 역임하였다.[4]

관직

1646년(인조 24)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1(효종 2) 알성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이어 병조좌랑, 지평, 정언 등을 거쳐 1653년(효종 4) 서장관으로 청에 다녀왔다. 1659(현종 즉위년)에는 효종릉비의 전서를 써서 가선대부에 올랐고, 도승지, 이조참판, 예조판서를 역임한 뒤 육조의 판서를 두루 거쳤다. 이조판서로 있을 때 서인 명사들을 조정에 천거했다. 1672년(현종 13) 우의정에 발탁되어 곧 좌의정으로 승진하였고 세자부를 겸했다. 예송에서는 송시열과 입장을 함께 하였다. 숙종 즉위 후에 당쟁으로 영암에 유배되었다가 1678년(숙종 4) 철원으로 이배되었다.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5]으로 남인들이 실각하자 다시 영의정이 되었으나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탄핵을 받아 위리안치(圍籬安置)[6] 되었다가 사사되었다. 노론에게는 남인의 역모를 꺾어 조정의 기강을 유지했고, 소론에 휩쓸리지 않고 노론에 대한 의리를 지켰으며 화를 당했을 때도 후회하지 않았고, 선비의 길을 밝혀 사문에 도움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반면 소론에게는 윤증을 비난하여 사림을 분열시켰다는 평가를 받았다.[7]

학문

김상헌의 손자로 가학(家學)을 계승하였고 송시열과 학문적 입장을 같이 했다. 노론과 소론이 분열할 때 송시열을 옹호하고 윤증을 비판하여 소론에게는 배척을 받았다. 시문에 뛰어났고 변려문(騈儷文)에 탁월하였으며, 해서와 초서를 잘 썼다.[8]

사후

1694년(숙종 20)년 복권되었고,[9] 녹동서원, 석실서원, 옥병서원에 배향되었다. 1725년(영조 1) 시호를 받았고,[10] 1868년(고종 23) 현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11]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에 묘가 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수항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김광찬 김수항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래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연안 김씨 김수항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나성두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수항 안정 나씨 A는 B의 남편이다 A ekc:hasWife B
김수항 김창집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수항 김창협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수항 김창흡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수항 김창업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김수항 김창즙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효종릉비전서 김수항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갑진북정록 김수항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문곡집 김수항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녹동서원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석실서원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옥병서원 김수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수항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681년 김수항은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의 도제조로 참여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06439 127.204758 김수항의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산11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인경왕후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 "현종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5. "경신대출척",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6. "위리안치",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7.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8.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9. 『숙종실록』 권26, 숙종 20년(1694) 4월 2일(기사), 고 상신 김수흥·조사석을 복관하고 사제하게 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0. 『영조실록』 권4, 영조 1년(1725) 3월 12일(경술), 시민당의 조강·주강·석강에 나가고, 옥사와 관련한 이들에 대한 처벌을 논하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1. 『고종실록』 권23, 고종 23년(1886) 11월 17일(병오), 빈청에서 묘정에 배향할 공신의 망단자를 아뢰다,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
  12. "김수항 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3. "석실서원",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4. "옥병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5. "녹동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인조실록』
  • 『효종실록』
  • 『현종실록』
  • 『숙종실록』
  • 『숙종실록보궐정오』
  • 『순종실록』
  • 『한국계행보』
  • 『문곡집』

더 읽을거리

  • "김수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