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상세
+
{{개념정보
 
|사진=BHST_Gwibu.png
 
|사진=BHST_Gwibu.pn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귀부
 
|대표명칭=귀부
 +
|한자표기=龜趺
 
|영문명칭=
 
|영문명칭=
|한자=龜趺
+
|이칭=비좌석(碑座石)
|산스크리트어=
+
|유형=
|팔리어=
+
|관련개념=[[탑비|탑비(塔碑)]], [[이수|이수(螭首)]], [[제액|제액(題額)]]
|한역어=
 
|음사=
 
|동의어=비좌석(碑座石)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반의어=
 
|관련어=[[탑비|탑비(塔碑)]], [[이수|이수(螭首)]]
 
 
}}
 
}}
 
  
 
=='''정의'''==
 
=='''정의'''==
22번째 줄: 14번째 줄:
  
 
=='''내용'''==
 
=='''내용'''==
귀부는 시대가 변하면서 용의 모습 외에 해태 모습을 한 것도 있고, 사실적인 거북 모양에서 점차 변형되어 장중한 것, 패기에 넘치는 것, 우아한 것 등 형태를 달리한 것이 많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446&cid=40942&categoryId=33058 귀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현존하는 귀부 중 가장 오래된 것은 661년에 세워진 신라태종무열왕릉비(국보 제25호)의 귀부로서, 목을 앞으로 쭉 뻗고 눈을 크게 뜬 채 입을 다문 거북의 모습이 사실적이면서도 박진감 넘치는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5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거북의 잔등에 장방형의 비좌(碑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는 일은 중국 당나라 때부터 시작하여 그 후 전 시대에 성행했는데, 그것은 거북이 만년을 산다는 장수의 상징으로서 비의 영원성을 표현하는 데 이용되었기 때문이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5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삼국시대 때 석비는 대체로 비좌 없이 그대로 땅에 묻어 세우거나, 혹 비좌가 있다 하더라도 자연석을 비좌로 삼았을 뿐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 이후 당나라 석비의 영향을 받아 귀부(龜趺)를 비좌로 삼게 되어 그 뒤로 이러한 형태는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석비의 전형이 되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5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귀부는 시대가 변하면서 용의 모습 외에 해태 모습을 한 것도 있고, 사실적인 거북 모양에서 점차 변형되어 장중한 것, 패기에 넘치는 것, 우아한 것 등 형태를 달리한 것이 많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446&cid=40942&categoryId=33058 귀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현존하는 귀부 중 가장 오래된 것은 661년에 세운 [[경주 태종무열왕릉비|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귀부로, 목을 앞으로 쭉 뻗고 눈을 크게 뜬 채 입을 다문 거북의 모습이 사실적이면서도 박진감 넘치는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다.<ref>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5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관계망'''==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탑비]] || [[귀부]]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탑비]] || [[이수]]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탑비]] || [[제액]] || A는 B를 포함한다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탑비의 귀부''">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탑비의 귀부'>
파일:BHST Borimsa Bojo stele-gwib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귀부]]
+
파일:BHST Borimsa Bojo stele-gwib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gwibu.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귀부]]
+
파일: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886)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gwib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귀부]]
+
파일:BHST Ssangyesa Heysostele gwibu.jpg|[[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887)
파일:BHST_Jeongtosaji_Beopgyeong_stele-gwibu.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귀부]]
+
파일: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890)
 +
파일: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90년 이후)
 +
파일: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9세기 중엽)
 +
파일:BHST Ssangbongsa Cheolgam stele gwibu.jpg|[[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9세기 말)
 +
파일: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905)
 +
파일: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924)
 +
파일: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924)
 +
파일: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939)
 +
파일: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940)
 +
파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940)
 +
파일:BHST Myeongbongsa Jajeok stele gwibu.jpg|[[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941)
 +
파일:BHST_Jeongtosaji_Beopgyeong_stele-gwibu.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943)
 +
파일:BHST Beopheungsa Jinghyo stele gwibu.jpg|[[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944)
 +
파일: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946)
 +
파일: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950)
 +
파일: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954)
 +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gwib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958)
 +
파일: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965)
 +
파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975)
 +
파일: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978)
 +
파일: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979)
 +
파일: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1017)
 +
파일: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1025)
 +
파일: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1060)
 +
파일: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1085)
 +
파일: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1111)
 +
파일: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1125)
 +
파일: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1180)
 +
파일: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1185)
 +
파일: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1224)
 +
파일: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1234년 이후로 추정)
 +
파일: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1358)
 +
파일: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1377)
 +
파일:BHST Taegosa Wonjeung stele-gwibu.jpg|[[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1385)
 +
파일: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1386)
 +
파일: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1398)
 +
파일: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1612)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gwibu.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1653)
 +
파일: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미상)
 
</gallery>
 
</gallery>
  
36번째 줄: 84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승탑비문 Top icon}}
+
=='''참고문헌'''==
 +
*정영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7195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8446&cid=40942&categoryId=33058 귀부]",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59189&cid=42635&categoryId=42635 귀부]",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귀부]]
+
[[분류:개념]]
[[분류:승탑/작성중]]
 

2024년 4월 12일 (금) 00:46 기준 최신판

귀부
(龜趺)
BHST Gwibu.png
대표명칭 귀부
한자표기 龜趺
이칭 비좌석(碑座石)
관련개념 탑비(塔碑), 이수(螭首), 제액(題額)



정의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돌.

내용

거북의 잔등에 장방형의 비좌(碑座)를 마련하고 그 위에 비신(碑身)을 세우는 일은 중국 당나라 때부터 시작하여 그 후 전 시대에 성행했는데, 그것은 거북이 만년을 산다는 장수의 상징으로서 비의 영원성을 표현하는 데 이용되었기 때문이다.[1]

삼국시대 때 석비는 대체로 비좌 없이 그대로 땅에 묻어 세우거나, 혹 비좌가 있다 하더라도 자연석을 비좌로 삼았을 뿐이었다. 그러나 통일신라시대 이후 당나라 석비의 영향을 받아 귀부(龜趺)를 비좌로 삼게 되어 그 뒤로 이러한 형태는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석비의 전형이 되었다.[2]

귀부는 시대가 변하면서 용의 모습 외에 해태 모습을 한 것도 있고, 사실적인 거북 모양에서 점차 변형되어 장중한 것, 패기에 넘치는 것, 우아한 것 등 형태를 달리한 것이 많다.[3]

현존하는 귀부 중 가장 오래된 것은 661년에 세운 경주 태종무열왕릉비(慶州 太宗武烈王陵碑)의 귀부로, 목을 앞으로 쭉 뻗고 눈을 크게 뜬 채 입을 다문 거북의 모습이 사실적이면서도 박진감 넘치는 수법으로 조각되어 있다.[4]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탑비 귀부 A는 B를 포함한다
탑비 이수 A는 B를 포함한다
탑비 제액 A는 B를 포함한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영호, "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정영호, "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귀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정영호, "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정영호, "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귀부",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사전연구사 편집부, 『미술대사전(용어편)』,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귀부",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