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텍스트)
25번째 줄: 25번째 줄:
 
[[윤호|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성종|성종成宗]]의 명을 받고 편찬한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인 의학서
 
[[윤호|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성종|성종成宗]]의 명을 받고 편찬한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인 의학서
  
==텍스트==
+
==내용==
 
[[윤호|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성종|성종(成宗)]]의 명을 받고 편찬한 의학서이다.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윤호|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성종|성종(成宗)]]의 명을 받고 편찬한 의학서이다.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구급간이방]]』의 서문에 출간에 참여한 인물을 나열했는데, 『[[의방유취|의방유취(醫方類聚)]]』의 출간에 참여했던 [[임원준|임원준(任元濬)]]과 『의방유취』의 요약판인 『[[의문정요|의문정요醫門精要]]』를 저술한 [[허종]](許琮, 1434~1494)이 주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실록]]』 20년 5월조의 “내의원제조 영돈녕 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신찬 『[[구급간이방]]』을 진상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간행하여 중외 여러 고을에 두루 반포하여 여항 소민으로 하여금 모두 얻어 볼 수 있게 하였다.”는 기록으로 볼 때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이 책을 준비하여 1489년 5
 
『[[구급간이방]]』의 서문에 출간에 참여한 인물을 나열했는데, 『[[의방유취|의방유취(醫方類聚)]]』의 출간에 참여했던 [[임원준|임원준(任元濬)]]과 『의방유취』의 요약판인 『[[의문정요|의문정요醫門精要]]』를 저술한 [[허종]](許琮, 1434~1494)이 주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실록]]』 20년 5월조의 “내의원제조 영돈녕 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신찬 『[[구급간이방]]』을 진상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간행하여 중외 여러 고을에 두루 반포하여 여항 소민으로 하여금 모두 얻어 볼 수 있게 하였다.”는 기록으로 볼 때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이 책을 준비하여 1489년 5
 
월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월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완비된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의서 중 하나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언해 부분도 15세기 국어학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반치음의 불규칙한 사용이나 어두의 경음화가 보이며,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많이 보인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6쪽.</REF>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완비된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의서 중 하나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언해 부분도 15세기 국어학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반치음의 불규칙한 사용이나 어두의 경음화가 보이며,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많이 보인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6쪽.</REF>
 +
 +
==부연설명==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4월 3일 (월) 21:57 판

구급간이방언해
한글팀 구급간이방언해 01 구급간이방언해 메인.jpg
한자명칭 救急簡易方諺解
영문명칭 The most complet first-aid book
작자 윤호 등
작성시기 1489년(성종20)
간행시기 조선초기
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6.6×18.6㎝
판본 목판본, 초간, 16세기 중간본
수량 1冊(권7)
표기문자 한글, 한자



정의

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성종成宗의 명을 받고 편찬한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인 의학서

내용

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성종(成宗)의 명을 받고 편찬한 의학서이다.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구급간이방』의 서문에 출간에 참여한 인물을 나열했는데, 『의방유취(醫方類聚)』의 출간에 참여했던 임원준(任元濬)과 『의방유취』의 요약판인 『의문정요醫門精要』를 저술한 허종(許琮, 1434~1494)이 주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실록』 20년 5월조의 “내의원제조 영돈녕 윤호尹壕, 1424~1496 등이 신찬 『구급간이방』을 진상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간행하여 중외 여러 고을에 두루 반포하여 여항 소민으로 하여금 모두 얻어 볼 수 있게 하였다.”는 기록으로 볼 때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이 책을 준비하여 1489년 5 월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완비된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의 현존하는 몇 안 되는 의서 중 하나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또한, 언해 부분도 15세기 국어학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반치음의 불규칙한 사용이나 어두의 경음화가 보이며,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많이 보인다.[1]

부연설명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급간이방 인물 윤호
구급간이방 인물 성종
구급간이방 인물 임원준
구급간이방 인물 허종
구급간이방 개념 의방유취
구급간이방 개념 의문정요
구급간이방 개념 성종실록
구급간이방 개념 구급간이방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구급간이방 간행년 1489년(성종20)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833435 128.758046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구급간이방가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8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