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승탑정보
 
{{승탑정보
|사진=
+
|사진=BHST Taegosa Wonjeung stupa.jpg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대표명칭=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영문명칭=  
+
|영문명칭=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한자=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한자=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이칭=
 
|이칭=
|지정번호=
+
|지정번호= 보물 제749호
|지정일=  
+
|지정일= 1983년 12월 27일
|주소=  
+
|주소=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5
|위도=  
+
|위도= 37.645543
|경도=  
+
|경도= 126.978099
|소유자=  
+
|소유자= [[고양 태고사]]
|관리자=  
+
|관리자= [[고양 태고사]]
|크기=  
+
|크기= 높이 4.0m
|건립시대=  
+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보우|보우(普愚)]]
+
|관련승려= [[보우(고려)|보우(普愚)]]
 
|관련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관련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필드수=16
 
|필드수=16
21번째 줄: 21번째 줄:
  
 
=='''정의'''==
 
=='''정의'''==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고양 태고사|태고사(太古寺)]]에 있는 [[보우|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의 [[승탑]].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고양 태고사|태고사(太古寺)]]에 있는 [[보우(고려)|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의 [[승탑]].
  
 
=='''내용'''==
 
=='''내용'''==
 
===개요===
 
===개요===
보물 제749호. 높이 4.0m. 고려 말에 활동하였던 원증국사 보우(普愚, 1301∼1382)의 유골을 모신 묘탑(墓塔)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여 다시 세워 놓았다.
+
보물 제749호로 높이 4.0m이며, 고려 말 승려 [[보우(고려)|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의 유골을 모신 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여 세워 놓았다.<ref>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2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승탑은 길고 큰 돌을 쌓아 만든 네모나면서 넓은 탑전(塔殿) 안에 자리하고 있다. 탑전 가운데에는 여러 장의 돌을 조립한 네모난 바닥돌이 있고, 그 위에 이 승탑이 있는데, 여느 승탑처럼 받침돌, 몸돌, 지붕돌, 상륜부(相輪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승탑은 길고 큰 돌을 쌓아 만든 네모나면서 넓은 탑전(塔殿) 안에 자리하고 있다. 탑전 가운데에는 여러 장을 조립한 네모난 바닥돌이 있고, 그 위에 이 승탑이 있는데, 받침돌, 몸돌, 지붕돌, 상륜부(相輪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ref>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2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아래받침돌은 단면이 4각으로, 각 면마다 모서리 기둥과 함께 2개씩의 가운데 기둥이 조각되었고, 기둥 사이에는 길고 네모난 테두리가 2줄로 새겨져 있다. 윗면에는 하나의 꽃잎[單瓣]이 아래로 향해 있는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를 8각의 각 모서리마다 1개씩 모두 8개를 굵은 선으로 조각하였는데, 가운데부분에는 가운데받침돌을 받치기 위한 1단의 굄을 마련해 놓았다. 단면 8각의 가운데받침돌은 각 모서리에 둥근 기둥을 새겼으며, 각 면에도 4장의 꽃잎을 가진 꽃 무늬를 큼지막하게 장식하였다. 윗받침돌은 단면이 거의 둥근 모양에 가까운데, 밑면에는 8각의 각진 받침이 2단으로 낮게 새겨져 있고, 그 위에는 아래받침돌의 복련과 대칭이 되도록 위로 솟아 있는 앙련(仰蓮)의 연꽃 무늬 8개가 역시 굵게 조각되었으며, 꽃잎 안은 고사리 무늬로 장식되었다.
+
기단의 맨 밑단인 사각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 조각을 새겼으며, 윗면에는 굵은 선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두었다. 팔각인 가운데받침돌은 각 모서리에 원기둥을 새긴 후 면마다 큼직한 꽃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원형에 가까운 윗받침돌은 굵은 선으로 연꽃을 새겼고, 꽃잎 안에 고사리무늬를 두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7490000,31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몸돌은 윗받침돌 윗면에 마련된 1단의 둥근 굄 위에 올려져 있다. 윗부분은 좁지만 아래부분은 넓은 석종(石鐘) 모양으로, 겉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8각의 지붕돌은 수평을 이룬 추녀가 비교적 두꺼워 민첩성은 다소 줄어들어 보이고, 각 모서리에 자리한 귀꽃도 투박스럽게 솟아 있다. 윗면인 낙수면의 경사는 매우 완만한 편이며, 밑면에는 1단의 둥근 받침 위에 16개의 연꽃 무늬가 둘러져 있다.
+
탑신의 몸돌은 원형으로 위쪽이 좁아져서 지붕돌 밑면에 들어맞게 되어 있다. 지붕돌은 처마가 거의 수평을 이루며,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이 솟아 있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7490000,31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머리장식인 상륜부는 보륜(寶輪), 보개(寶蓋), 보주(寶珠) 등으로 이루어졌다. 보륜은 마치 둥근 공의 위아래부분을 자른 것처럼 생긴 고복형(鼓腹形)으로, 겉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다. 단면 8각의 보개는 지붕돌을 축소해 놓은 것과 같아서, 지붕돌의 여러 조각이 그대로 새겨져 있다. 보개 위에는 연꽃 무늬가 장식된 받침돌이 놓여 있고, 다시 그 위에 단면이 4각인 기둥 모양의 돌이 올려져 있는데, 아래부분의 네 모서리에는 꽃잎이 4장인 앙련이 새겨져 있고, 윗부분은 4개의 기둥에 보주가 휩싸여 있는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다.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에 따르면, [[보우(고려)|보우]]는 1382([[고려 우왕|우왕]] 8)에 입적했는데, 다음 해에 [[다비|다비(茶毘)]]한 뒤 1385년에 탑비를 세웠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 승탑은 늦어도 1385년 이전에는 건립했을 것으로 추정한다.<ref>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2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 승탑은 받침돌에서 상륜부까지 일관성은 없지만, 4각형, 8각형, 원형 등 여러 단면의 부재들이 큰 규모에도 불구하고 조화를 잘 이루고 있어서, 고려 후기에 건립된 승탑 가운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제611호)에 의하면, 보우는 우왕 8년(1382)에 입적하였는데, 다음해에 다비(茶毘)한 뒤 1385년에 탑비를 세웠다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 승탑은 늦어도 1385년 이전에는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민백]
+
=='''지식관계망'''==
 
+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
<html>
고려 후기의 승려인 원증국사 보우의 사리탑으로, 3단으로 이루어진 기단(基壇)위로 탑신(塔身)을 올린 후 독특한 모습의 머리장식을 얹었다.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21/monk_bou.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21/stele_bou_taegosa.htm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https://dh.aks.ac.kr/Encyves/Graph/D021/monk_bou.htm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기단의 맨 밑단이 되는 4각의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의 조각을 새겼으며, 그 윗면에는 굵은 선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두었다. 8각의 가운데받침돌은 각 모서리에 원기둥을 새긴 후 면마다 큼직한 꽃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원형에 가까운 윗받침돌은 굵은 선으로 연꽃을 새겼고, 꽃잎 안에 고사리무늬를 두었다. 탑신의 몸돌은 원형으로 위쪽이 좁아져서 지붕돌 밑면에 들어 맞게 되어있다. 지붕돌은 처마가 거의 수평을 이루며,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이 투박하게 솟아 있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있다.
+
===관계정보===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보물 제611호)의 건립이 고려 우왕 11년(1385)이므로, 이 사리탑은 그 이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짐작된다.[문재]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51번째 줄: 51번째 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고양 태고사]] || A는 B에 있다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고양 태고사]] || A는 B에 있다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보우]]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보우(고려)]]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
  
62번째 줄: 6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7490000,31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 김창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72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68번째 줄: 69번째 줄: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
 
[[분류:승탑]]
[[분류:승탑/검토요청]]
 

2024년 4월 11일 (목) 23:52 기준 최신판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BHST Taegosa Wonjeung stupa.jpg
대표명칭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영문명칭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eung at Taegosa Temple, Goyang
한자 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
주소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5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749호
문화재 지정일 1983년 12월 27일
소유자 고양 태고사
관리자 고양 태고사
크기 높이 4.0m
건립시대 고려시대
관련승려 보우(普愚)
관련탑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정의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태고사(太古寺)에 있는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승탑.

내용

개요

보물 제749호로 높이 4.0m이며, 고려 말 승려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1301-1382)의 유골을 모신 탑으로, 무너져 있던 것을 최근에 복원하여 세워 놓았다.[1]

승탑은 길고 큰 돌을 쌓아 만든 네모나면서 넓은 탑전(塔殿) 안에 자리하고 있다. 탑전 가운데에는 돌 여러 장을 조립한 네모난 바닥돌이 있고, 그 위에 이 승탑이 있는데, 받침돌, 몸돌, 지붕돌, 상륜부(相輪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2]

기단의 맨 밑단인 사각 아래받침돌은 각 면마다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모양 조각을 새겼으며, 그 윗면에는 굵은 선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두었다. 팔각인 가운데받침돌은 각 모서리에 원기둥을 새긴 후 면마다 큼직한 꽃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원형에 가까운 윗받침돌은 굵은 선으로 연꽃을 새겼고, 꽃잎 안에 고사리무늬를 두었다.[3]

탑신의 몸돌은 원형으로 위쪽이 좁아져서 지붕돌 밑면에 들어맞게 되어 있다. 지붕돌은 처마가 거의 수평을 이루며,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이 솟아 있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있다.[4]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에 따르면, 보우는 1382(우왕 8)에 입적했는데, 다음 해에 다비(茶毘)한 뒤 1385년에 탑비를 세웠다고 한다. 이러한 내용으로 보아, 승탑은 늦어도 1385년 이전에는 건립했을 것으로 추정한다.[5]

지식관계망

  • 원증국사 보우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고양 태고사 A는 B에 있다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보우(고려)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A는 B와 관련이 있다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보우(고려) A는 B를 위한 비이다

주석

  1. 김창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창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4.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5. 김창균,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