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문화유산정보
+
{{유물유적정보
|사진 =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
|사진=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사진출처=
|한자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영문 =  
+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이칭 =  
+
|영문명칭=
|지정번호 = 국보 제13호
+
|이칭=
|지정일 = 1962.12.20
+
|유형=
|주소 =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
|시대=
|위도 = 34.738758
+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경도 = 126.686809
+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웹사이트 =  
+
|소장처= [[강진 무위사]]
 +
|경도= 34.738758
 +
|위도= 126.686809
 +
|수량=
 +
|관련인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
 
}}
 
}}
  
=='''소개'''==
+
=='''정의'''==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불전이다.  국보 제13호이다.
 
  
[[강진 무위사|무위사]]에 남아 있는 건물은 대부분 1555년(명종 10) 4창할 때 건립된 것인데, 이 극락전만큼은 1956년경 수리공사를 하던 중 본존불 뒷벽의 벽화 아래 서쪽에 쓰인 [[연기문(緣起文)]]을 통하여 1476년(성종 7) 이전에 지어진 건물임이 밝혀졌다.
+
=='''내용'''==
<ref>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건축 양식'''==
+
=='''지식관계망'''==
이 불전은 엇맞추어 쌓은 [[석단(石壇)]]에 [[갑석(甲石)]]만을 둘러서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주춧돌을 놓아 세웠다. 평면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공포(栱包)]]는 [[주심포계(柱心包系)]], 지붕은 [[맞배지붕]]을 한 단층 겹처마집이다.
+
"그래프 삽입"
  
기단은 앞쪽만을 높게 쌓고 두 옆면과 뒷면은 지세(地勢)를 그대로 이용하여 건물을 세웠다. 주좌(柱坐)를 새기지 않은 주춧돌 위에 [[배흘림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기둥머리와 주심포작(柱心包作)을 짜올려서 가구를 결구시켰다.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출목의 수는 [[이출목]]으로서 바깥쪽 포의 끝은 제공(諸貢: 공포에서 첨차와 살미가 층층이 짜여진 것)처럼 되어 있고, 내포(內包)는 1장의 판으로 만든 것처럼 [[파련(波蓮)무늬]]를 새긴 [[운공]](雲工: 장여와 도리를 받는 초새김한 짧은 재목)으로 되어 있다.
+
=='''시각자료'''==
  
내부에서는 대들보를 가운데칸 양쪽 포 위에 놓고 대들보 위에 [[동자기둥]]을 세워 종보를 올려놓고, 그 위에 다시 [[파련대공(波蓮臺工)]]과 ㅅ자 [[솟을합장]]을 세워 마루도리를 받치고 있다.
+
===가상현실===
  
이렇듯 가구구조(架構構造)는 2중량(二重樑) 구조로 되어 있는데, 건물 외부에서 보면 2중량 구조로 보이지 않고 두 고주(高柱) 위에 중종보[中宗樑]만이 걸쳐져 있고 그밖에 창방(昌枋)·퇴보·장여 등 작은 직선재(直線材)로 측면을 간결하게 구성하고 있다.
+
===갤러리===
  
건물의 앞면은 격자모양·빗살모양을 섞어 만든 4분합(四分閤) 문을 달았고, 옆면에는 앞쪽에 출입살문, 뒷면에는 칸마다 모두 판자문과 창을 달았다.
+
===영상===
  
건물 안 뒤쪽 중앙부에 불단을 마련하여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을 봉안하였고, 그 뒷벽에는 1476년(성종 7)에 조성한 벽화가 그려져 있다. 측면 벽에도 조선 전기 작품으로 보이는 벽화들이 있었는데 해체 수리하면서 벽체 그대로 뜯어내 보존 전시하고 있다.
+
=='''주석'''==
 +
<references/>
  
내부 바닥에는 마루 대신에 전돌을 깔았고 천장은 위쪽 가구를 드러낸 [[연등천장]]이며 불상 윗부분에만 보개(寶蓋)와 우물반자를 가설하였다.
+
=='''참고문헌'''==
  
공포는 기둥머리 위에서 내려다본 단면이 十자형인 쌍S자형 첨차로 그 위에 장여와 제2살미를 놓아 외목의 행공첨차를 받치고, 이 첨차는 다시 제3살미와 직교하여 외목장여를 받치고 있다.
+
{{승탑비문 Top icon}}
 
 
외포(外包)의 첫 출목의 첨차 끝 절단면은 느린 기울기를 가지며 밑면의 S자모양 곡선은 부드럽고 힘차다. 기둥머리나 소로[小累]의 굽은 단면이 직선이고 굽받침이 없다. 이러한 세부적 특징은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의 양식보다는 후대의 것으로 조선 초기 [[주심포]] 건물의 양식적 특징이다.<ref>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8,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관련 지식정보 노드'''==
 
{| class="wikitable"
 
! 노드 || 관계 || 노드 || 설명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에 있다 || [[강진 무위사]]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강진 무위사에 있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주심포]]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주심포 양식을 가진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이출목]]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이출목 양식을 가진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연등천장]]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연등천장의 양식을 가진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의 양식을 가진다 || [[맞배지붕]]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맞배지붕의 양식을 가진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를 주불로 한다 || [[아미타삼존불좌상(阿彌陀三尊佛坐像)]]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아미타삼존불좌상을 주불로 한다.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와 유사하다 || [[부석사무량수전(浮石寺無量壽殿)|부석사무량수전]]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은 부석사무량수전과 유사하다.
 
|}
 
 
 
=='''기여자'''==
 
[[김사현]]: 최초 작성
 
 
 
=='''각주'''==
 
<references/>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작성중]]
 

2017년 8월 27일 (일) 22:40 판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GangJinMuwisaGueknakbojeon.jpg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한자표기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지정번호 국보 제13호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장처 강진 무위사



정의

내용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