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강진 무위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찰사지정보
 
{{사찰사지정보
|사진= muwisa.jpg
+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영문명칭=
+
|영문명칭= Muwisa Temple, Gangjin
 
|한자= 康津 無爲寺
 
|한자= 康津 無爲寺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14번째 줄: 14번째 줄:
 
|관리자=
 
|관리자=
 
|교구정보=
 
|교구정보=
|건립시기=
+
|건립시기= 7세기
|창건자=
+
|창건자= [[원효|원효(元曉)]]
 
|경내문화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경내문화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
  
 
=='''정의'''==
 
=='''정의'''==
 +
전남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
  
 
=='''내용'''==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
+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해남 대흥사|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1407년(태종 7)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현재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
신라 때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신라 헌강왕|헌강왕]] 1)에 [[도선|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신라 효공왕|효공왕]] 9) [[혜근|선각(禪覺)]]3창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이때의 당우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그 뒤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 당우는 최근까지만 해도 극락전·명부전과 요사채 뿐이었으나 1678년(숙종 4)에 극락전 앞에 괘불대를 조성하였고, 1739년(영조 15)에는 해초(海超)·극잠(克岑) 등이 전각을 보수하였다.
+
[[형미|형미(逈微, 864-917)]]는 891년, 당에 가서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05년에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며 선풍(禪風)을 일으켰다.<ref>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872&cid=50763&categoryId=50784 형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1975년 벽화보존각(壁畵保存閣)과 해탈문(解脫門)·봉향각(奉香閣)·천불전(千佛殿)·미륵전(彌勒殿) 등을 중건하였으며, 1991년에 산신각을 짓고 1995년에 동쪽 요사를 증축하여 오늘에 이른다. 이 중 극락보전은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는데, 벽에는 29점의 벽화가 있었으나 지금은 본존불 뒤의 가로 4m, 세로 7m 크기의 후불탱화만이 남아 있고, 28점은 보존각에 보관되어 있다.
 
 
 
이 벽화들은 법당이 완성된 뒤 찾아온 한 노거사(老居士)가 49일 동안 이 안을 들여다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 그렸다는 전설이 있다. 49일째 되는 날, 주지가 문에 구멍을 뚫고 들여다보니 파랑새 한 마리가 입에 붓을 물고 마지막으로 후불탱화의 관음보살 눈동자를 그리고 있었는데, 새는 인기척을 느끼고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지금도 후불탱화의 관음보살상에는 눈동자가 없다.
 
 
 
이 밖에도 선각대사변광탑비(先覺大師遍光塔碑)는 보물 제507호로 지정되어 있고, 그 옆에는 석탑형식을 취한 보기 드문 부도가 있는데, 선각대사변광영탑(先覺大師遍光靈塔)으로 명명되어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6호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미륵전 안에는 고려 말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 있다.[민백]
 
 
 
 
무위사는 강진읍에서 북서쪽으로 16km 쯤에 자리한다. 이 절의 기록에 의하면 신라 진 평왕 39년(617년)에 원효대사가 이곳 월출산 남쪽 기슭에 창건하여 관음사라 했다가 1 555년 태감선사가 지금의 이름인 "무위사"로 불렀다고 전한다. 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그당시 지어졌던 대부분의 건축물들이 임진왜란때 소실 되어 버 렸다. 극락보전은 조선초기에 지어진 것으로 국보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해방 이후 1 956년에 극락전을 수리 보수하고 보존각을 새로 세워 그 안에 벽화를 봉안했다. 그 후 1 975년에는 봉향각 해탈문·명부전·천불전을 다시 지었다. 고려시대에 세워진 선각대사 편광탑비 (보물제507호)와 삼층석탑(도지정 문화재자료76호)이 경내에 남아 있었다.[구석구석]
 
 
 
 
 
 
 
《사지(寺誌)》에 의하면 617년(신라 진평왕 39)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는데, 875년(신라 헌강왕 1)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 개칭하였다. 946년(고려 정종 1)에는 선각(先覺) 형미(逈微)가 3창하여 모옥사(茅玉寺)라 하였다가, 1550년(명종 5) 태감(太甘)이 4창하고 무위사라 개칭하였다. 그러나 경내에 있는 보물 507호인 선각대사편광탑비(先覺大師遍光塔碑)의 비명(碑銘)에 의하면 신라시대에도 이미 무위갑사(無爲岬寺)로 불렸으므로 《사지》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때의 당우(堂宇)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사찰이었는데, 그 후 화재 등으로 축소되었다.
 
 
 
최근까지만 해도 남아 있는 당우는 극락전과 명부전 및 요사(寮舍)뿐이었는데, 1974년 벽화보존각(壁畵保存閣) ·해탈문(解脫門) ·분향각(焚香閣) ·천불전(千佛殿) ·미륵전(彌勒殿) 등을 중건하면서 옛날의 모습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중 국보 제13호 극락전은 벽에 29점의 벽화가 있었으나, 지금은 본존불(本尊佛) 뒤의 탱화(幀畵)만 남아 있고, 28점은 보존각에 소장되어 있다. 이 벽화들은 법당이 완성된 뒤 찾아온 어떤 노거사(老居士)가 49일 동안 이 안을 들여다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그렸다는 전설이 있다.[두산]
 
  
 +
1407년([[조선 태종|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 하나가 되었다. 1430년([[조선 세종|세종]] 12)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지금도 남아 있다. 1555년([[조선 명종|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당시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이후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ref>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당시 지어진 건축물 대부분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ref>"[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
<html>
===관련항목===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D017/monk_hyeongmi.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강진 무위사]] || [[원효]]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형미]]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 [[강진 무위사]]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7세기|| [[원효]]가 [[강진 무위사|무위사]]를 창건하였다
 +
|-
 +
| 875년|| [[도선]]이 [[강진 무위사|무위사]]를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하였다
 +
|-
 +
| 905년|| [[혜근]]이 3창하였다
 +
|-
 +
| 905년|| [[형미]]가 당에서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면서 선풍을 일으켰다
 +
|-
 +
| 1407년|| [[강진 무위사|무위사]]가 [[천태종]] 17개의 [[자복사찰|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
|-
 +
| 1430년|| [[강진 무위사 극락전|극락전]]을 지었다
 +
|-
 +
| 1555년||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
<html>
===갤러리===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17/Muwisa.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D017/Muwisa.htm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영상===
 +
* treasure Namdo, "[https://www.youtube.com/watch?v=mZCp0ifhNBk '남도의보물100선' 62회 - 흐르는 영혼 '강진 무위사']", YouTube, 게시일: 2016년 4월 17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mZCp0ifhNBk?ecver=1"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66번째 줄: 9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김위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918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05872&cid=50763&categoryId=50784 형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http://korean.visitkorea.or.kr/kor/bz15/where/where_main_search.jsp?cid=126357 무위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대한민국 구석구석』<sup>online</sup></online></html>, 한국관광공사.
 +
 
{{승탑비문 Top icon}}
 
{{승탑비문 Top icon}}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사찰]]

2024년 3월 29일 (금) 10:51 기준 최신판

강진 무위사
(康津 無爲寺)
대표명칭 강진 무위사
영문명칭 Muwisa Temple, Gangjin
한자 康津 無爲寺
이칭 관음사, 갈옥사, 모옥사, 무위갑사
주소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1194번지
건립시기 7세기
창건자 원효(元曉)
경내문화재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정의

전남 강진군 성전면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1]

신라 때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觀音寺)'라 하였고, 875년(헌강왕 1)에 도선(道詵)이 중건하여 '갈옥사(葛屋寺)'라고 개칭한 뒤, 많은 승려들이 주석하였다. 905년(효공왕 9) 선각(禪覺)이 3창하였다.[2]

형미(逈微, 864-917)는 891년, 당에 가서 선법(禪法)을 전해 받고, 905년에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며 선풍(禪風)을 일으켰다.[3]

1407년(태종 7) 무위사가 천태종(天台宗) 17개의 자복사(資福寺) 중 하나가 되었다. 1430년(세종 12) 극락전을 지었는데, 이 건물은 지금도 남아 있다. 1555년(명종 10)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無爲寺)'라 하였다.[4]

당시 무위사는 본절이 23동, 암자가 35개로 모두 58동에 이르는 대찰이었으나, 이후 화재 등으로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5] 극락보전을 제외하고는, 당시 지어진 건축물 대부분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6]

지식관계망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와 선각대사 형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진 무위사 원효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형미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극락전 백의관음도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강진 무위사 삼층석탑 강진 무위사 A는 B에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7세기 원효무위사를 창건하였다
875년 도선무위사를 중건하여 '갈옥사'라고 개칭하였다
905년 혜근이 3창하였다
905년 형미가 당에서 귀국하여 무위사에 머물면서 선풍을 일으켰다
1407년 무위사천태종 17개의 자복사(資福寺) 중의 하나가 되었다
1430년 극락전을 지었다
1555년 태감(太甘)이 4창하면서 '무위사'라 하였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영상

주석

  1.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형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참고문헌

  • 김위석, "무위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곽철환,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2003. 온라인 참조: "형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무위사",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