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5일 (토) 20:37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第一次治山綠化十個年計劃)
민족 일러 정부사업.png
대표명칭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한자표기 第一次治山綠化十個年計劃
유형 제도
관련개념 새마을운동,제2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대단지조림사업



정의

두 차례에 걸쳐 실시된 치산녹화 계획 중 1973년부터 1978년까지 내무부 장관 주도하에 시행된 전 국토 녹화사업이다.

내용

배경

산림청은 한국전쟁 이후 황폐해진 국토의 녹화를 위하여 대단지조림사업을 추진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단편적인 성과에 머물러 있었다. 정부는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경찰력이 필요하며, 산림녹화를 새마을 사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1973년 산림청이 내무부 산하로 이관됨과 동시에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유신헌법」 제 119조에 ‘국가는 농지와 산지 기타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개발과 보전을 위하여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에 관한 필요한 제한과 의무를 과할 수 있다.’라고 명문화하였다.[1]

시행 및 성과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은 기본목표를 국토의 녹화에 두고, 새마을운동을 통하여 조림애국사상을 생활화함으로써 녹색혁명을 이룩하는 것을 기본방향으로 하였다.
1975년부터 매년 3월 21일부터 4월 20일까지 한 달 동안을 '국민식수기간'으로 정하여 모든 국민이 나무 심기에 참여하도록 하였다.[2] 또한 산림의 보호차원에서 벌채 및 무단입산을 행정적으로 강력하게 통제하였으며, 산불예방 및 진화를 위하여 모든 지역의 경찰공무원과 산림공무원이 분담하는 보호관리·보호단속·기술지도를 삼위일체로 하여 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였다. 또한 강원도를 시작으로 전국의 화전정리 사업을 마무리 하였고, 농촌의 연료공급을 위한 대단위 연료림이 조성되었다. 1차 계획은 당초 조림목표량 100만ha 보다 많은 108만ha의 녹화사업을 초과달성하여 계획기간을 4년 앞당겨 1978년에 완료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산림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새마을운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대단지조림사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제2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내마을 붉은땅 없애기운동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농림해양수산-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국가기록원.
  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크리에디트, 2007년 256쪽.
  3. "농림해양수산-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국가기록원.
  4. "농림해양수산-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국가기록원.
  5. "농림해양수산-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국가기록원.
  6. "농림해양수산-제1차 치산녹화 10개년계획", 『국가기록원 기록정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2. 단행본
    •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과학이 세상을 바꾼다』, 2007년, 크리에디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