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1월 25일 (토) 10:14 판 (공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한자표기 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주제 흉례(凶禮)
작성주체 국장도감(國葬都監)
의례담당자 이세백(李世白)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02년(숙종 28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2책 747장(상책 389장, 하책 358장)
강화부: 총 2책 621장(상책 335장, 하책 286장)
크기 어람용: 48.6×35.8
강화부: 46.2×33.3
도설 46면(상책 6면, 하책 40면)(채색)
반차도 어람용: 26면(상책)(채색)
총 길이: 약 936㎝
강화부: 24면(상책)(채색)
총 길이: 약 792㎝



정의

1701년(숙종 27) 인현왕후(仁顯王后)의 장례를 치르는 국장(國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희빈 장씨와의 갈등 속에 1694년(숙종 20)의 갑술환국으로 왕비의 자리를 회복한 인현왕후는 7년 뒤인 1701(숙종 27) 8월 14일에 창경궁 경춘전에서 승하하였다. 인현왕후의 병은 명치가 꽉 막히는 병이었다. '희빈'으로 강등된 장씨창경궁 취선당 서쪽에 신당을 차려 놓고 무녀를 불러 왕비를 저주하는 기도를 올리고, 궁녀들을 시켜 짚으로 만든 각시로 제웅을 삼고, 참새나 쥐의 뼈가루를 의 침전인 창덕궁 대조전과 내전인 창경궁 통명전 앞뜰에 파묻기도 했다고 한다. 이 사실은 숙종후궁숙빈 최씨인현왕후에게 알려 세상에 드러나게 되었다. 이 사실을 안 숙종궁녀들을 창덕궁 인정문에서 친국(親鞫)하고 처행했다. 주모자인 희빈 장씨왕세자의 친모라는 사실로 처형을 주저하다가 10월 8일 자진(自盡)하라고 하교했다. 8월 18일 창경궁 환경전인현왕후의 빈전(殯殿)을 차렸으며, 12월 8일 발인하였다. 12월 9일 명릉(明陵)[1]에 안치되었고, 창경궁 문정전에 마련된 혼전에 신주를 봉안하였다.[2]

목록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별단(別單), 장계(狀啓), 이문(移文), 품목(稟目), 감결(甘結), 예관(禮關), 부의궤(附儀軌), 논상(論賞)
하책: 일방(一房), 이방(二房), 삼방(三房), 분전설사(分典設司), 분장흥고(分長興庫), 지석소(誌石所), 우주소(虞主所), 별공작(別工作)

해제

임민혁,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상책",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임민혁,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하책",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김영인,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상책(2562), 하책(256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555: 완질), 의정부본(奎 14864: 상책 결본)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300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인현왕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숙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발인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 상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02년 8월 14일 인현왕후창경궁 경춘전에서 승하하였다
1702년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 인현왕후의 국장 장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1. "명릉, 문화재 검색, 『문화재청』online, 문화재청, 작성일: 2011년 7월 28일.
  2.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191~19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