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
|
대표명칭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Master Wonrang from Wolgwangsa Temple Site, Jecheon |
한자 |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 서빙고로 137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360호 |
문화재 지정일 | 1963년 1월 21일 |
찬자 | 김영(金穎) |
서자 | 순몽(淳夢) |
각자 | 진윤(眞胤) |
서체 | 해서(楷書) |
승려 | 대통(大通) |
건립연대 | 890년 |
|
정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월광사지에 있었던 신라시대의 승려 원랑선사 대통(圓朗禪師 大通, 816-883)의 탑비.
내용
개요
보물 제360호. 전체 높이 3.95m, 비신(碑身)[1] 높이 2.26m, 너비 97㎝, 두께 24㎝인[2] 이 비는 본래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월광사 터에 세웠던 것으로 1922년 3월 경복궁으로 옮겼다가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
이 비는 귀부(龜趺)와 이수(螭首), 비신이 존재한다. 귀부는 네 발이 매우 작으며 곧게 선 짧은 목, 형식화한 머리부분 등 신라 말기의 조형이다.[4] 이수는 상부 중앙에 보주(寶珠)[5]를 두었고, 구름 속에서 사방으로 머리를 들고 나오는 아홉 마리의 용을 입체적으로 새겼다. 이수 상부 좌우에는 보주(寶珠)를 꽂았던 구멍이 남아 있다. 제액(題額)은 있으나 글씨가 새겨지지 않았다.[6]
비문 상단부는 글자의 마멸이 비교적 심한 편이고, 전체적으로도 눈으로 글자를 판독하기 곤란하다.[7]
대통(大通)은 월광사(月光寺)에 머무르면서 사찰을 크게 발전시키다가 883년(헌강왕 9)에 68세로 입적하였다. 헌강왕은 ‘원랑선사’라 시호를 내리고 ‘대보광선(大寶光禪)’이라는 탑명을 내렸으며, 탑비는 890년(진성여왕 4)에 건립되었다. 비문을 지은 사람은 문신인 김영(金穎)이 지었고, 글씨는 승려 순몽(淳夢)이 썼으며, 2㎝ 정도로 쓴 구양순체(歐陽詢體)의 해서(楷書)이다. 글자는 제자인 진윤(眞胤) 등이 새겼다.[8][9]
현재 월광사 터에는 탑의 부재 일부만 남아 있다.[10]
비문
비문의 내용에는 원랑선사(圓朗禪師)의 생애와 가계, 성품 등이 서술되어있다.
비문에서 원랑선사(圓朗禪師)가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여 위앙종(潙仰宗) 계통의 선을 수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선사의 스승인 낭혜화상(朗慧和尙)이 마조도일(馬祖道一) 계통의 선을 공부한 사실과 더불어 신라 하대 선종사상의 학풍을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11]
비문 보러가기 |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한국국학진흥원, 2014, 31-39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0: 신라6 비문6", |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와 원랑선사 대통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제천 월광사 | A는 B에 있었다 | A edm:formerLocation B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신라 헌강왕 | A는 B가 이름을 지었다 | A dc:contributor B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대통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김영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순몽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A ekc:calligrapher B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진윤 | A는 B가 비문을 새겼다 | A ekc:inscriber B |
대통 | 제천 월광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제천 월광사지 | 제천 월광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90년 | 대통의 탑비인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가 제천 월광사에 건립됨. |
1922년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가 경복궁으로 옮겨짐. |
1963년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가 보물로 지정됨.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
- ↑ 정충락,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월광사 원랑선사탑비",
『두산백과』online . - ↑ 용이 가지고 있다는 여의주를 말함
-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정충락,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충락,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정충락,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월광사원랑선사대보선광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월광사 원랑선사탑비",
『두산백과』online .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주요 소장품 검색,
『소장품』online ,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