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초상화관 개관

황현 초상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8일 (토) 23:54 판 (새 문서: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역사인물초상화 |사진= 역사인물초상화_초상_황현 초상.jpg |사진출처= |대표명칭= 황현 초상 |한자명칭= 黃...)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황현 초상
역사인물초상화 초상 황현 초상.jpg
한자명칭 黃玹 肖像
작가 채용신
제작시기 1911년 5월
소장처 개인 소장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494호
유형 초상
크기(세로×가로) 120.7×72.8㎝


정의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이자 학자인 황현(1855-1910)의 모습을 그린 초상.

내용

초상의 제작 및 보관

<황현 초상>은 조선 말기 최고의 초상화가이자 1910년대 초반 항일투사들을 주로 그렸던 채용신의 작품이다. 화폭 뒤에 적힌 ‘신해년 오월 상순에 금마에 있는 종2품 정산군수를 지낸 채용신이 초상을 임모하다(辛亥五月上澣金馬從二品行定山郡守蔡龍臣臨眞)’라는 제기에서 보듯이 1911년 5월 상순에 그린 작품이다. 황현은 1910년에 자결하였으므로, 이 초상화는 그의 사후에 그려진 것이며 제기에 ’임진(臨眞)‘했다는 대목은 1909년 천연당(天然堂)이라는 사진관에서 찍은 55세 사진을 보고 그려낸 임작 초상화임을 말한다.[1]
<황현 초상>은 양식사적으로 대한제국기 전후 초상화의 새로운 면모와 특징적인 모습을 매우 종합적으로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수준도 조선 말기 유복 초상화 중 최고로 꼽힐 정도로 뛰어난 면모를 보여준다.

문헌에 기록된 외모

동생 황원의 회고에 의하면 황현은 생김새가 깔끔하고 매서워 가을 매가 솟구칠 듯 서 있는 것 같았고 이마는 훤칠하여 윤기가 돌았으며, 눈썹은 성글고 목소리는 맑고 쩌렁쩌렁했으며 시력은 근시에 오른쪽은 사팔이었고, 콧마루는 오뚝하고 귓불은 처졌으며, 이는 쥐이고 입술은 검푸르며 수염의 길이는 두어 치였다고 한다. 황현의 친구였던 김택영황현이 이마가 넓고 눈썹은 드물었으며 눈은 근시인데다가 오른쪽으로 꺽어졌는데, 사람됨이 호방하고 시원스러우면서도 모가 나고 꼬장꼬장하여 생김새는 못났으나 그 기상이 강직하고 그 시력은 흐릿해도 그 속마음은 밝았다고 했다.[2]

초상에 묘사된 모습

<황현 초상>은 거의 정면상으로 보일 정도로 약간 왼쪽으로 비껴 앉은 구분면에 가까운 모습이다. 의복은 사진에서는 흰색 두루마기를 입고 양태가 좁은 갓을 쓰고 있는데 초상화에서는 심의를 입고 정자관을 쓴 뒤 화문석 돗자리위에 앉은 좌상으로 그려졌다. 이는 조선 후기의 유학자 초상의 전통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3]
얼굴의 표현은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피부의 질감은 실제와 비슷하고 수염은 바람에 나부낄 듯하다. 특히 넓은 이마, 성근 눈썹, 오뚝한 코, 사시인 오른쪽 눈 등 황현의 주변인들이 말한 외모의 특징이 거의 그대로 초상에 반영되고 있어 매우 놀라운 작품이다.


<정약용 초상>은 우안팔분면에 머리에는 사방관을 쓰고 청색 도포에 둥근 안경을 쓴 모습으로 그려졌다. 다산이 입은 의복은 한국복식사의 권위자인 단국대 고부자 교수의 자문을 받아 당시의 의상을 재현했으며, 도포의 쪽빛을 표현하기 위해 강진지역에 식생하는 쪽을 구해 천연안료를 만들어 사용했다. 눈썹의 모양이나 수염의 표현 등에서 『사암선생연보(俟菴先生年譜)』에 나오는 다산의 외모에 대한 기록들을 수용한 모습이 모인다. 시력이 안 좋았다는 기록을 반영해 안경을 쓴 모습을 그린 점이 이채롭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현 초상 초상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황현 초상 황현 |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황현 초상 채용신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황현 초상 사암선생연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암선생연보 정약용 A는 B를 묘사하였다 A ekc:depicts B
사암선생연보 정규영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정약용 정규영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우안팔분면 황현 초상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방관 황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도포 황현 초상 A는 B에 나타난다 A ekc:isShownOn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11년 5월 황현 초상이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5757800 126.7459590 황현 초상다산기념관에 소장되어있다.

시각자료

주석

  1. 조선미, 『한국의 초상화, 形과 影의 예술』, 돌베게, 2009, 426쪽.
  2.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326쪽.
  3.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 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눌와, 2007, 328쪽.
  4. 안현주, "다산 정약용, 173년만에 초상화로 환생", 『뉴시스』online, 작성일: 2009년 04월 17일.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1. 전시도록
    • 문화체육부, 『표준영정도록-역사를 빛낸 선현』, 문화체육부, 1999.
    •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월전의 붓끝, 한국화 100년의 역사』,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2.
  2. 단행본
    • 장우성, 『월전회고록-화단풍상칠십년』, 미술문화,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