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Encyves Wiki
Nuri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22일 (일) 23:4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慶州 皇龍寺九層木塔)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대표명칭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한자표기 慶州 皇龍寺九層木塔
유형 목탑(터)
시대 신라
소장처 경북 경주시 구황동 320-1
관련장소 경주 황룡사
관련유물유적 경주 황룡사지,경주 황룡사지 장육존상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던 목탑.[1]

내용

황룡사 가람 배치 때 중심 불탑(佛塔)으로 건립되었으나 1238년(고려 고종 25) 몽골의 병화(兵火)로 가람 전체가 불타버린 이후로 옛터만이 남아 있다.[2][3] 장육존상과 함께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643년(선덕여왕 12)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자장(慈藏)의 요청으로 건조되었다 한다. 그러나 645년(선덕여왕 14) 처음 건축을 시작하여 그해 4월 8일에 찰주를 세우고 이듬해 완공했다는 설도 있는데, 이는 황룡사 구층탑지 심초석(心礎石) 안에서 도굴된 신라황룡사찰주본기(新羅皇龍寺刹柱本記)에서 비롯한 것이다. [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룡사 황룡사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구층목탑 황룡사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황룡사 구층목탑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장육존상 황룡사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황룡사 신라 진흥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황룡사 아소카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김태-황룡사의 조영 황룡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569년 신라 진흥왕황룡사를 건설하였다.
574년 아소카왕삼존불상의 재료를 보냈다.
645년 황룡사 구층목탑이 완공되었다.
1238년 몽고의 침입으로 황룡사가 소실되었다.
1976년 발굴조사가 시작되어 4만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837947 129.232168 황룡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구황동 황룡사지에 있었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황룡사 구층목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정영호, "황룡사구층목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황룡사 구층목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황룡사 구층목탑", 『doopedia』online, 두산백과.
  5.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6.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7. 민족기록화팀 촬영(2017년 5월 13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자원

유용한 정보

  1. "경주 황룡사지",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조유전, "경주 황룡사지(사적 제6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황룡사",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정병조, "황룡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