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언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23:3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상언
(上言)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대표명칭 상언
한자표기 上言
유형 서식, 청원제도


정의

조선시대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양식. [1]

내용

상언의 정의

위로는 관원으로부터 아래로는 공사천(公私賤)에 이르는 모든 사람들이 쓸 수 있는 문서이다. 상언이 상소(上疏)와 다른 점은, 상소는 대개 관원과 유생·사림이 국왕에게 올리는 문서양식이나, 상언은 관원으로서가 아니라 사인(私人)으로서 올리는 것이며, 상소에는 이두(吏讀)를 쓰지 않으나 상언에는 이두를 쓰는 것이다.[2]

주요한 상언의 내용

상언의 내용은 효자·충신·열녀의 정려(旌閭)·정문(旌門)과 효자·충신·학행자(學行者)의 증직(贈職)을 국왕에게 청원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상언은 사림들이 하는 경우도 있고, 자손들이 조상을 위하여 올리는 경우도 있다.[3]

상언의 구체적인 양식

상언의 구체적인 서식은『유서필지(儒胥必知)』에 나타나 있다. 효자·충신·열녀·학행자에 대한 정려·정문·증직을 향촌이나 가문의 영예로 생각한 조선사회의 유교윤리적 측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언은 조선시대의 유교윤리 및 사회사 관계의 참고문헌가 된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상언 광산김씨 상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상언 참의 황여일 처 숙부인 이씨 소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상언 정씨부인 원정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상언 유서필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최승희, "상언(上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최승희, "상언(上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최승희, "상언(上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최승희, "상언(上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서평
    • 최승희, 「민족문화 연구 심화를 위한 기초작업」, 韓國古文書硏究, (연구논총 8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Vol.5 No.1, 1982.

더 읽을 거리

  • 논문
    • 황수연, 「김씨 부인 상언의 글쓰기 전략과 수사적(修辭的) 특징」,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Vol.46 No.-, 2015.
    • 임형택, 「김씨부인의 국문 상언(上言) : 그 역사적 경위와 문학적 읽기」,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학회, Vol.- No.25, 2004.
    • 서경희, 「김씨 부인 상언을 통해 본 여성의 정치성과 글쓰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한국고전여성문학회, Vol.12 No.-,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