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완구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23:1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완구()
이강칠, 대완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대완구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정의

조선시기 사용된 공성용 화기.

내용

대완구비격진천뢰나 둥그런 돌 형태의 발사체를 발사하는 공수성용 화포이다. 동그란 모양 때문에 다른 별명으론 댕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1407년(태종 7)에 처음 만들어졌고 수차례 개량되어 1422년(세종 4)에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대완구은 크기에 따라서 대,중,소 완구로 나누어지며, 명칭은 대완구,중완구,소완구 등으로 불린다. 총 길이는 64.6cm 이고 포 구경은 263mm 이다. 발사 할 수 있는 사거리는 350-500보(약 630-900m) 정도이다. [1]

대완구의 발사체 중에서 비격진천뢰는 발사 후에 2차 폭발하는 폭탄이다. 임진왜란 시기에 자주 등장했으며 폭탄 안에는 수십개의 빙철(馮鐵)이 있어 적의 보병이 밀집대형으로 접근할 경우 효과적으로 쓰였다. [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포식언해 대완구 A는 B를 언급했다
대완구 비격진천뢰 A는 B를 사용한다
화포식언해 비격진천뢰 A는 B를 언급했다
육군박물관 대완구 A는 B를 소장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07년 대완구가 처음 제작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25173 127.10011 대완구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203쪽
  2. 이강칠, 비격진천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웹자원
    • 이강칠, 대완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강칠, 비격진천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참고문헌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