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자총통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0월 17일 (화) 23:1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승자총통(勝字銃筒)
윤용성, 승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승자총통
한자표기 勝字銃筒
유형 물품
시대 조선시대
용도 무기


정의

조선 중기 김지(金墀)가 발명한 개인용 화기

내용

1575년에서 1578년까지 김지가 만든 개인용 화기이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개인이 직접 화약을 장전하고 들고 쏠 수 있다. 개인용 용도와 별도로 화차위에 설치 될 수 있는데, 약 최대 40개의 승자총통을 한꺼번해 화차위에 설치 할 수 있었다. 망암화차가 바로 이 승자총통 40개를 발사대에 설치하여 사용한 것이다. 전체 길이는 55cm 이고, 구경은 20mm 이다. 최대 사거리는 600보(약 180미터) 정도라고 한다. 승자총통의 동체인 동신(筒身), 화약을 채우는 약실(藥室), 그리고 손잡이 이렇게 3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인용 화기라는 의미가 있으나 20년 후 임진왜란 시기에 일본군이 가져온 조총에 그 위력을 잃었다. 그러므로 대부분 망암화차처럼 대규모 탄약 발사 형식으로 사용되었다. 크기가 작은 철환만 쏜 것이 아니라, 화살을 넣어서 발사 할 수도 있었다. [1]

지식 관계망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 151.

참고문헌

유용한 정보

  • 웹자원
    • 윤용성, 승자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더 읽을 거리

  • 참고문헌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한국 전통무기 조사(-도검․화포류-)』, 경희정보인쇄㈜,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