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Encyves Wiki
서동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9일 (일) 23:16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대표명칭=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자명칭=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로마자명칭= Daebanggwang wongaksudarayoui...)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한자명칭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영문명칭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
간행시기 1465년(세조11)경
소장처 장서각
청구기호 C4-139A
문화재지정사항 보물 제1514호
유형 고서
크기(세로×가로) 27.3×18.2㎝
판본 금속활자본(을유자)
수량 1책
표기문자 한자, 한글



개요

당나라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하고 종밀宗密이 풀이한 원각묘심(圓覺妙心)의 수행 방법을 설명한 불교 경전이다.

내용

당나라 불타다라(佛陀多羅)가 한역(漢譯)하고 종밀宗密이 풀이한 원각묘심(圓覺妙心)의 수행 방법을 설명한 불교 경전이다. 대방광원각경, 원각 수다라요의경, 원각요의경, 원각경, 요의경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고려 우왕 대에 원각경이 간행되었으나, 본 경전은 1465년(세조 11) 원각사를 준공한 시점에 간행된 것이다. 이 경전은 고려 시대부터 널리 유통되었는데, 특히 장서각 소장본은 간경도감의 국역본을 저본으로 삼아 경문과 주석의 한글 구결 부분만 편집해 인출한 금속활자본이다. 여기 사용된 활자는 을유년(1465)에 주조한 을유자(乙酉字)로, 이 활자는 불경을 간행할 목적으로 주조되었다. 조선이 불교 억제책을 시행했으므로 을유자는 더 이상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후 갑진자(甲辰字)를 주조할 당시 을유자를 녹여 재사용했다고 한다. 이로 인해 을유자로 간행된 자료가 희귀한 실정이며, 장서각 소장본은 국어학 및 서지학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1]


관련항목

중심 관계어 정의 대상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한역 불타다라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풀이 종밀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사용 을유자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소장처 장서각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간행연대 1465년(세조11)경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언해 소장처 장서각 127.054364 37.392258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35쪽. 해설문 속의 각종 링크 정보는 기록유산스토리사업팀에서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