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6일 (목) 14:00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유진사댁_전답매매명문.jpg |대표명칭=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한자명칭= |로마자명칭= |영문명칭= A record of l...)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한글팀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jpg
영문명칭 A record of land trade issued by Kim to the servant Sani of Yu family
작자 창령궁 상전 김씨
작성시기 1895년(고종32)
간행시기 개항기
소장처 장서각(진주유씨 모산종택 기탁)
유형 고문서
크기(세로×가로) 29×61㎝
판본 필사
수량 1章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헌종이 1839년 10월 18일 천주교의 폐해를 막기 위해서 서울과 지방의 백성에게 내린 윤음, 한문본과 언해본

텍스트

1895년고종32 6월에 창령궁昌靈宮 상전 김씨金氏가 유진사댁 노奴 산이山伊에게 전답의 매매 권한을 위임하면서 작성한 문서이다. 매매 대상 전답은 안산安山 군내면郡內面 성곶리城串里 불리포不利浦에 있는 추자秋字 논으로 양안量案에 기입되어 있지 않은 새로 경작한 땅이며, 면적은 파종량을 기준으로 10마지기斗落이고, 수확량을 기준으로 4복負이다. 창령궁의 상전은 매입을 원하는 사람에게 전문錢文 500냥兩과 신문기新文記 1장을 받을 것을 명하고 있다. 문서 상단에는 ‘바다가 되어 경작하지 못하는 언답堰畓은 내언답內堰畓의 수문통水門筒이므로 부득이하게 구입하였으니 내언답의 물을 모으는 곳으로 사용할 계획이다.’라는 내용의 문구가있다. 또한 문서 왼쪽 하단에는 ‘새로 기경한 방죽이 터져서 도로 바다가 되어 경작하지 못한 지 5~6년이 되었다. 창령궁에서 이 논을 팔아 대토垈土를한 마지기라도 사라고 하여, 유진사댁에 팔아 대토와 상환相換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유진사댁에서 구문기舊文記가 없다면서 의심하여 사려고 하지 않자 신문기에 보증인을 두어 증거로 삼게 한다.’는 내 용의 문구가 한글로 기재되어 있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인물 창령궁 상전 김씨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인물 유진사댁 노 산이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개념 양안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개념 구문기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유진사댁 전답매매명문 간행년 1895년(고종32)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1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