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차도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8일 (목) 20:5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반차도
(班次圖)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반차도
한자표기 班次圖
유형 개념



정의

‘나누어진 소임에 따라 차례로 도열하는 것’이란 뜻으로, 행사의 주요 장면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1]

내용

신분 위계인 반차(班次)에 따라 의식에 참여하는 관원, 악대, 시위군사, 의장과 기물, 행사의 주인공인 왕실인물의 가마 등의 정해진 자리를 그린 그림으로, 실무에 활용하기 위해 행렬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였다. 이는 행사 당일에 그린 것이 아니라, 행사 전에 미리 참여 인원과 물품을 배치해 행사 당일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기능을 하는 행사배치도 및 기념사진의 역할을 한다. 반차도의 제작은 당시 도화서(圖畫署)의 유명 화원들이 담당했는데, 사진기가 없던 조선에서 그림을 통해 현장의 모습을 가장 정확하고 생생하게 전달해주는 역할을 했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궤 반차도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도화서 반차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반차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반차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반차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238506 126.9804702 반차도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7.4621075 126.9502654 반차도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37.391972 127.054382 반차도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
  2. 김문식ㆍ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43~4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중앙박물관, 『145년 만의 귀환, 외규장각 의궤』, 국립중앙박물관, 2011.
  • 김문식·신병주, 『의궤,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돌베개, 2005.
  • 한영우, 『조선왕조의 의궤, 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