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병세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28일 (목) 16:23 판 (새 문서: {{인물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조병세 |한자표기= 趙秉世 |영문명칭= |본관= 양주(楊州) |이칭= |시호= 충정(忠正) |호= 산재(山齋...)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병세(趙秉世)
대표명칭 조병세
한자표기 趙秉世
생몰년 1827년-1905년
본관 양주(楊州)
시호 충정(忠正)
산재(山齋)
치현(穉顯)
시대 조선
대표직함 의정부의정, 중추원의장, 좌의정, 우의정
배우자 김준현의 딸 김씨
홍천현감 조유순
서직수의 딸 대구 서씨
자녀 진사 조태희
상훈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重章)
능묘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성격 인물
유형 백관



정의

조선 말기의 백관 중 문신으로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처형을 주장하다가 자살했다.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총호사,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 총호사 [1], 『영조묘호도감의궤』 도제조[2], 『문조신정황후고종명헌태후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도제조[3]를 역임하였다.

내용

생애

음관으로 참봉(參奉)이 되었고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사관(史官)을 거쳐 1864년(고종 즉위년) 실록청도청낭청(實錄廳都廳郎廳)으로 『철종실록(哲宗實錄)』편찬에 참여하였다.[4] 1887년(고종 24) 공조판서(工曹判書)가 되었고,[5] 1889년(고종 26) 우의정(右議政)이 되어 정승의 반열에 올랐다.[6] 1902년(고종 39) 궤장(几杖)을 받았고,[7] 같은 해 중추원의장이 되었다.[8] 1905년 11월 15일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조약을 담당한 대신들을 처벌하라는 상소를 올렸는데,[9] 받아들여지지 않아 자살하여 충정(忠正)의 시호를 내렸다.[10]

사후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에 묘가 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重章)이 추서되었다. 묘는 1986년 3월 3일 시흥시 향토유적 5호로 지정되었다. 1990년 12월 1일 사적비(事蹟碑)와 와비(臥碑)가 세워졌다.[1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병세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 A는 B의 담당자였다 A edm:isRelatedTo B
조병세 백관 A는 B에 해당한다 A dcterms:type B
조유순 조병세 A는 아들 B를 두었다 A ekc:hasSon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명성황후빈전혼전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 "영조묘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 "문조신정황후고종명헌태후명성황후상호도감의궤", 의궤 검색, 『규장각』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 "조병세", 검색, 『두산백과』online, 두산백과.
  5. 『高宗實錄』 24년(1887) 윤4월 任子: 「二十五日以趙秉世爲工曹判書」
  6. 『高宗實錄』 24년(1889) 10월 己卯: 「初七日拜禮曹判書趙秉世爲議政府右議政」
  7. 『高宗實錄』 39년(1902) 7월 25일(양력): 「下御製詩于賜几杖三相臣」
  8. 『高宗實錄』 39년(1902) 11월 19일(양력): 「十九日特進官趙秉世任中樞院議長」
  9. 『高宗實錄』 42년(1905) 11월 26일(양력): 「二十六日宮內府特進官趙秉世等疏略」
  10. 『高宗實錄』 42년(1905) 12월 1일(양력): 「特進官趙秉世以韓日新約憤惋仰藥死之」
  11. "조병세 선생 묘", 『시흥시 문화관광』online, 시흥시.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종실록』
  • 『한국계행보』

더 읽을거리

  • 이완재, "명성황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병세 선생 묘", 『시흥시 문화관광』online, 시흥시.</ref> </ref>
  • "조병세", 『두산백과』online,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