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구황촬요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5일 (수) 23:57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신간구황촬요_02.jpg |대표명칭= 신간구황촬요 |한자명칭= 新刊救荒撮要  |로마자명칭= Singan guhwangchawlyo |영문명...)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간구황촬요
한글팀 신간구황촬요 02.jpg
한자명칭 新刊救荒撮要 
영문명칭 A book about dealing with famine
작자 신속
작성시기 1660년(현종1)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C6A-10B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28.9×19.7㎝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청주 현감으로 있던 신속申洬, 1600~1661이 엮은 기근饑饉 구제에 관한 책

텍스트

청주 현감으로 있던 신속申洬, 1600~1661이 엮은 기근饑饉 구제에 관한 책이다. 1554년명종9에 간행된 『구황촬요』 가운데 언해 부분을 약간 수정한 뒤, 신속이 언해·편찬한 『구황보유방救荒補遺方』을 합철하였다. 책의 서두에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 지은 서문이 있고, 이어서 신속이 찬술한 『구황보유방救荒補遺方』,1554년에 이루어진 『구황촬요』가 있으며, 맨 끝에 신속의 발문이 있다. 신속의 발문에 의하면, 세종 때 나온 『구황벽곡방救荒辟穀方』 중에서 중요한 것을 뽑아 명종 때 이를 언해하여 간행했으나 그 책이 드물어 인조 때 김육金堉, 1580~1658이 중수하여 간행하였다. 하지만 이 책도 산일散逸되어 찾아보기 어렵게 되자 『신간구황촬요』 간행에 착수한 것이다. 언해는 한문 원문 전체를 번역하는 대신, 실용적이고 요긴한 내용을 간추려 번역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효종 말년부터 현종 즉위 연간에 이르기까지 흉년이 이어져 굶어 죽는 자가 속출했는데, 이 책에서는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먹을 수 있는 초근목피草根木皮 등의 다양한 대용 식물을 소개하고 있다. 이 책을통해 조선의 지배층이 백성을 구휼하기 위해 부단히 고민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신간구황촬요 인물 신속
신간구황촬요 인물 송시열
신간구황촬요 인물 김육
신간구황촬요 개념 고황벽곡방
신간구황촬요 개념 구황보유방
신간구황촬요 개념 구황촬요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신간구황촬요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신간구황촬요 간행년 1660년(현종1)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