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해태산집요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5일 (수) 18:59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언해태산집요_02.jpg |대표명칭= 언해태산집요 |한자명칭= 諺解胎産集要 |로마자명칭= Eonhae taesanjibyo |영문명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언해태산집요
한글팀 언해태산집요 02.jpg
한자명칭 諺解胎産集要
영문명칭 A medical book related to obstetrics and gynecology
작자 허준
작성시기 1608년(선조41)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보물 제1088-1호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25.2×17.2㎝
판본 목활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허준許浚이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산부인과 계열의 의학서

텍스트

허준許浚이 선조의 명을 받아 편찬한 산부인과 계열의 의학서이다. 원래 1434년세종16에 노중례盧重禮,?~1452가 편찬한 『태산요록胎産要錄』 2권을 개편, 언해한 것으로서 주로 부인과에 속하는 잉태·출산·유아보호 등의 여러 처방과 치료 방법을 부문별로 수집편찬한 책이다. 산부인과 계통의 한방서로는 세종 때의 『산서産書』, 노중례의 『태산요록』, 연산군 때의 『임신최요방妊娠最要方』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모두 한문으로 쓰여 부녀자가보기에는 어려웠으므로 이 책을 편찬하게 되었다. 내용은 ‘구사求嗣 자식을 구하여 나을 방법’, ‘잉태孕胎 아기를 밴 증후’, ‘태맥胎脈 잉태한 맥’, ‘험태驗胎 태기를 험찰하는 방법’, ‘변남녀법辨男女法 사내와 여아를 분변하는 방법’, ‘전녀위남법轉女爲男法 여아를 남아로 바꾸는 방법’ 등 43개 항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각의 증세와 처방이 한문과 언해문으로 실려있다. 표지 이면에 만력36년1608, 선조41에 대사성 김륵金玏, 1540~1616에게 하사한다는 내사기內賜記가 있고,그 다음 목록면에 ‘선사지기宣賜之記’의 인印이 있다. 이 책의 처방에 나오는 고유어휘와 표기법 및 한자음 표기 등은 17세기의 국어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언해태산집요 허준
언해태산집요 선조
언해태산집요 노중례
언해태산집요 개념 태산요록
언해태산집요 개념 부인과(산부인과)
언해태산집요 개념 산서
언해태산집요 개념 임신최요방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언해태산집요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37.497995 127.003649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언해태산집요 간행년 1608년(선조41)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