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5일 (수) 17:07 판 (새 문서: {{한글고문헌 샘플 |이미지= 불설대보부모은중경_01.jpg |대표명칭= 불설대보부모은중경 |한자명칭= 佛說大報父母恩重經 |로마자명칭= Bulseol...)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불설대보부모은중경
한글팀 불설대보부모은중경 01.jpg
한자명칭 佛說大報父母恩重經
영문명칭 Sakyamuni's teaching on parental love
작자 ? (정조의 명)
작성시기 1796년(정조20)
간행시기 조선후기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청구기호 3-227
유형 고문헌
크기(세로×가로) 34×22.2㎝
판본 목판본
수량 1冊
표기문자 한글, 한자



개요

고종이 1881년 내린 사실상 마지막 척사윤음으로, 대소 관료와 서울과 지방의 백성들에게 내린 척사윤음으로 한문본과 언해본이 실려 있다.

텍스트

"정조의 명으로 『불설대보부모은중경佛說大報父母恩重經』을 언해한 책이다. 이 책은 이전 판본과는 달리 판식과 삽화의 형식에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부모의 열 가지 큰 은혜를 표현한 변상도 10장과 그에 대한 송과 경문을 함께 싣고, 이어 부모의 한량없는 은혜는 보답하려 해도 다 갚을 수 없다는 여덟 가지 주제에 대한 변상도 8장을 실었다. 마지막으로 이 경전을 읽고 쓰고 참회함으로써 은혜에 보답할 수 있다는 내용과 그러지 않을 경우 지 옥에 떨어져 고통을 받게 된다는 변상도 각 1장 등 총 21장의 변상도를 수록하였다. 특히 용주사본에 수록된 변상도는 김홍도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필치가 매우 완숙하고 섬세하다. 효를 주제로 한 『부모은중경』은 조선시대에 여러차례 간행되었는데, 한문을 해독하지 못하는 백성 들을 교화하기 위해 이와 같이 변상도가 포함된 언해본의 간행을 추진한 것으로 보인다."[1]


시각자료

관련항목

중심 연결정보 대상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인물 정조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인물 김홍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개념 변상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37.39197 127.054387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언해 간행년 1796년(정조20)

참고문헌

주석

  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06.28, 9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