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3 회의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2월 13일 (월) 20:59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0212 회의 02xx 회의

  • 자유롭게 수정해 주세요~


연구계획서 추가 수정사항

  1. 인물선정의 기준/과정을 다이어그램으로 제시
  2. "한국 역사인물 시각적 스토리텔링 DB 편찬" 의 예시 & 네트워크 그래프 --- 윤증-박세당-남구만 etc. .... 역사인물 DB 자체로서의 콘텐츠
  3. 편찬 방법에서 온톨로지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프로세스 (약 1p)
  4. 테마서비스1 - 가상전시관 - 텍스트 추가
  5. 테마서비스2 - 송시열 백그라운드 이미지 추가
  6. 기대효과 에 추가할 내용

디지털 시대의 인물 사전은 단순히 인물에 대한 기술만으로 이루어져서는 안된다. 인물을 중심으로 한 지식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야 하며, 이러한 새로운 디지털 사전의 모델을본 연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한국 역대 인물 전문 사전 편찬" 사업의 프로토타입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회의 메모

연구계획서 관련 교수님 comment

1. 편찬의 목적 및 배경 + 2. 스토리텔링 소재의 적합성

  • 인물 선정의 이유 관련 아래 세 가지 카테고리를 가지고 인물을 뽑았다.
    1. 시각자료가 있다고 하는 사실
    2. 그 사람들이 역사적으로 중요하고, 설명이 필요한 인물들을 고른다고 하는것(현대 표준영정의 경우, 다 유명한 사람들이지만 초상화 같은것이 남아있는 것 중 일반 사람들은 모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음)
    3. 1차년도 사업과의 관련성
    • 왜 이렇게 서술? 중요도에 따라 인물 100명 선정한다고 하는 접근법은 식상하게 느껴질 수 있음.
    • 우리는 멀티미디어 사업이므로 멀티미디어로서 활용가능성있는 인물을 먼저 찾고, 그 가운데서 스토리를 부여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을 선정한다.

3.2 편찬 내용 및 방법

  • 기존 네 가지 DB에서 온톨로지 설계한 것들(인물 사건 장소 사건 개념 문헌 등...) 제시하여, 온톨로지 틀에 의해서 인물과 관련 노드들의 관계를 정리하겠다(온톨로지 설계에 의해서 DB 구축하는 표준 프로세스 서술) - 한 페이지라도 서술할 것.
    • 왜 넣어야 하는가? 이번 제안서는 일종의 표준 제안서가 될 것.
    • 참고자료 : 인문정보입문 책) 164p 온톨로지와, 166p 온톨로지 설계 1. 개체탐색 2. 클래스 설계 3. 속성 설계 4. 개체에 대한 속성, 관계성 부여...

활용관련

  • 민백후속 사업인 한국역대인물 전문사전, 한국학정보화실에서 편찬 예정인 인물사전과 인물전거 db - 디지털 시대 인물사전은 단지 인물에 대한 기술만으로는 안된다. 그동안은 노드 중심이었으나, 노드와의 관계성을 충분히 탐구하여, 인물중심 기술이 아닌 인물 매개 다른 요소와의 네트워크 모델(인물 중심으로 한 지식 네트워크 모델)을 본 사업이 제시하하겠다 or 향후 민백 사전편찬의 프로토 타입을 제시(프로토 타이핑의 역할을)하겠다.
    • ex: 박세당, 윤증, 윤선거, 송시열, 남구당 : 사람들이 쉽게 알 수 있는 박세당, 관련 인물, 관련 장소 등...그것을 둘러싼 송시열 측과 윤증 측의 회니시비(懷尼是非) 이런 부분의 네트워크 만들어서, 일반적인 인물사전과 다른 의미구나! 하는 대표그림과 리스트를 넣어 정리하면 서술은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