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빈객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17일 (일) 13:49 판 (관계정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회빈객
(會賓客)
국립문화재연구소
대표명칭 회빈객
한자표기 會賓客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관례)



정의

관례가 끝나고 빈객에게 감사의 뜻으로 술과 음식을 베풀고, 폐백을 드리는 예이다.[1]

내용

빈(賓)과 찬(贊)은 서쪽에서 동향으로 서고, 주인(主人)은 동쪽에서 서향으로 선다. 집사자(執事者)가 속백(束帛)을 주인에게 주고, 주인 뒤에 선다. 빈과 찬이 북향하여 재배하면 주인이 폐백을 빈에게 주고, 집사자가 찬에게 준 다음 집사자와 주인은 제자리로 돌아간다. 빈과 찬이 내려가면 종자(從者)가 폐백을 받고, 주인은 동쪽으로 나가 서향하고, 빈은 서쪽으로 나가 동향하고, 주인과 빈이 읍하고 물러나면 의식이 끝난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백관 회빈객 A는 B를 참여한다
관례 회빈객 B는 A에 포함된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國朝五禮儀』 卷3, 「吉禮」, ‘王世子冠儀’
  2. 『國朝五禮儀』 卷3, 「吉禮」, ‘王世子冠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주자가례(朱子家禮)』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강옥수, 「조선시대 의례서에 나타난 관, 계례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권오영 외 5명,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ㆍ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000.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戴龐海, 『先秦冠禮硏究』, 中州古籍出版社, 2006
  • 박나연, 「正祖代 후반 王世子 冊封禮와 그 意義」,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심재우·임민혁·이순구외 2명,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3.
  • 안애영, 「임오년 가례 왕세자, 왕세자빈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유송옥, 이민주, 「특집 전통생활문화의 현대적 조명-효명세자 책례, 관례, 의식 및 복식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1』,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 민속원, 2008.
  • 이명은,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연우 외,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