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만춘

Encyves Wiki
이혜영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19일 (토) 20:4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만춘(楊萬春)
대표명칭 양만춘
한자표기 楊萬春
시대 고구려
대표직함 성주


정의

고구려의 장군이자 안시성전투를 승리로 이끈 안시성의 성주이다.

내용

문헌 속에 기록된 양만춘

고구려 보장왕 때의 안시성(安市城) 성주이다. 그의 이름은 역사서에는 보이지 않고 ‘안시성 성주’로만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송준길(宋浚吉)의 『동춘당선생별집(同春堂先生別集)』과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의하면 양만춘(梁萬春) 또는 양만춘(楊萬春)으로 밝혀졌다. [1]

고려 후기의 학자인 이색(李穡)의 「정관음(貞觀吟)」이라는 시와 이곡(李穀)의 『가정집(稼亭集)』에 의하면, 안시성전투에서 당나라 태종이 눈에 화살을 맞아 부상을 입고 회군했다고 한다. 고구려 멸망 뒤 당나라에 반대해 끝까지 저항한 11성(城) 가운데 안시성이 포함된 것으로 보아, 양만춘의 생존여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기백과 용기가 고구려 부흥운동으로 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양만춘안시성전투

645년(보장왕 4) 당나라 태종은 대군을 동원해 고구려를 침공하였다. 당나라 군대는 이세적(李世勣)의 건의로 안시성 공격을 시도하였다. 이 때 고구려는 당나라 군대에 포위된 안시성을 지키기 위해 15만 병력을 출동시켰으나 안시성에서 8리 떨어진 곳에서 대패하고 말았다. 고립무원의 상황에 처한 안시성에서 양만춘를 비롯한 병사와 주민들은 하나로 뭉쳐 완강히 저항하였다. 당시 당나라 군대는 하루에 6, 7회의 공격을 가하고 마지막 3일 동안은 전력을 다해 총 공세를 펼쳤으나 끝내 함락시키지 못하였다. 마침 9월에 접어들어 요동의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했고, 군량 또한 다하자 당나라 태종은 포위를 풀고 철군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양만춘은 성루에 올라 송별의 예(禮)를 표하고, 당나라 태종은 그의 용전을 높이 평가해 비단 100필을 주면서 왕에 대한 충성을 격려하였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허준 유희춘 A는 B와 교유하였다
허론 허준 A는 B의 어버이다
허론 처 영광 김씨 허론 A는 B의 아내이다
허론 처 영광 김씨 허준 A는 B의 어버이다
조선 선조 동의보감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1596년
조선 광해군 동의보감 편찬 A는 B를 명령하였다 1609년
허준 동의보감 편찬 A는 B를 주도하였다 1610년
허준 언해태산집요 A는 B를 저술하였다 1608년
허준 언해두창집요 A는 B를 저술하였다 1608년
허준 언해구급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1608년
허준 찬도방론맥결집성 A는 B를 저술하였다 1581년
허준 신찬벽온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1613년
허준 병역신방 A는 B를 저술하였다 1613년
양만춘 내의원 A는 B에 소속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581년 허준찬도방론맥결집성을 저술하였다
1596년 조선 선조동의보감 편찬을 명령하였다
1608년 허준언해태산집요를 저술하였다
1608년 허준언해두창집요를 저술하였다
1608년 허준언해구급방을 저술하였다
1609년 조선 광해군동의보감 편찬을 명령하였다
1610년 허준동의보감 편찬을 완성하였다
1613년 허준신찬벽온방을 저술하였다
1613년 허준병역신방을 저술하였다

주석

  1. 이도학, "양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도학, "양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도학, "양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단행본
    • 신동원, 『조선사람 허준』, 한겨레출판사, 2001.
    • 김호, 『허준의 동의보감 연구』, 일지사, 2000.
    • 김두종, 『조선의학사』, 탐구당, 1966.
  • 웹자원
    • 김두종, "허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유용한 정보

  • 신동원, "허준과 <동의보감>", 월간문화재, 『한국문화재재단』online, 한국문화재재단, 2016년 8월 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