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수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6일 (일) 00:53 판 (새 문서: {{인물정보 임시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이시수 |한자표기= 李時秀 |영문명칭= |본관= 연안(延安) |이칭= |시호= 충정(忠正) |호= 급...)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인물정보 임시

정의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관으로 정순왕후가 계속 수렴청정하려 할 때 반대한 인물이다.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도제조, 『정조국장도감의궤』의 총호사,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 도제조[1],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도제조[2],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4 감조관[3]을 역임하였다.

내용

관직

1771년(영조 47) 진사시에 합격하고 177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80(정조 4) 홍문관 부교리일 때 홍국영(洪國榮)을 탄핵하였다. 1786년(정조 10) 좌승지, 성균관 대사성,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91년(정조 15) 황해도 관찰사 때 투서사건으로 파직되었다가 성균관 대사성으로 복직되었다. 이후 공조판서 병조판서, 이조판서, 호조판서 등의 직책을 역임하였다. 순조가 즉위한 뒤에는 우의정과 영의정을 지냈다. 1804년(순조 4) 정순왕후가 수렴청정을 다시 하려 하자 반대하여 물러나게 하였다. 1812년(순조 12) 영중추부사로 있으면서 진주 겸 주청사로 청에 다녀왔다. 작품으로 중국을 여행하면서 지은 시인 『이시수속북정시(李時秀續北征詩)』가 있다.

사후

경기도 화성시 비봉면에 묘가 있다. 본래는 아버지 이복원(李復元)의 묘 앞에 있었다가 뒤편으로 이장하였다. 정경부인 해평 윤씨와 합장되었다. 1822년(순조 22) 시호를 받았다. 1836년(헌종 2) 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시수 정조국장도감의궤 A는 B를 담당했다
이시수 효명세자책례도감의궤 A는 B를 담당했다
이복원 이시수 A는 B의 아버지이다
안수곤 이시수 A는 B의 외조부이다
순흥 안씨 이시수 A는 B의 어머니이다
윤원동 이시수 A는 B의 장인이다
해평 윤씨 이시수 A는 B의 아내이다
이광우 이시수 A는 B의 장남이다
이시수 이시수속북정시 A는 B를 저술하였다
이시수 유릉 A는 B에 배향되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헌경혜빈부궁도감의궤
  2. 효명세자가례도감의궤
  3. 헌경혜빈양례도감의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