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중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8월 5일 (토) 04:58 판 (새 문서: {{인물정보 임시 |사진= 궁중기록화 인물 서문중01 문화재청.jpg |사진출처=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문중 |한자표기= 徐文重 |영문명칭= |본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틀:인물정보 임시

정의

조선 후기의 백관 중 문신으로 노론이었으나 소론과 입장을 같이 하기도 했다. 군사제도와 운영에 박식하여 병서를 저술하였고, 기근 구제에 공이 있었다. 『금보개조도감의궤』 도제조,[1]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 도제조[2]를 역임하였다.[3]

내용

관직

1673년(현종 14)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동몽교관을 지냈으며 1680년(숙종 6)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다음해 광주부윤이 되었다. 승지, 경상도관찰사, 어영대장, 예조참판 겸 비변사 당상 등을 역임하였고, 1687년(숙종 13) 형조판서 겸 종묘와 빙고의 제조를 지냈고 다음해에 지중추부사를 거쳐 우참찬이 되었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여 금천에 퇴거했으나 남인의 탄핵을 받아 안변부사로 밀려났다. 다음해에 동지부사로 청에 다녀오고 경주부윤, 안변부사 등을 역임했다. 1694년(숙종 20)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임명되었으나 남인 처벌에 온건한 경향이 있어 탄핵되었다. 소론 박세채(朴世采)의 도움으로 1696년 훈련대장, 형조판서, 병조판서를 역임했다. 1698년 우의정, 다음해에 좌의정, 그 다음해에 영의정이 되어 기로소(耆老所)[4]에 들어갔다.[5]

학문

군사제도와 운영에 관심이 많았으며 역사에 정통했다. 경상도관찰사로 재직할 때 지리ㆍ군사서적인 『해방지(海防誌)』를 저술하였으며 정승으로 재직할 때 『군국총부』를 저술했다. 조선시대의 고사를 엮어 『조야기문(朝野記聞)』, 『상제례가범(喪祭禮家範)』, 『역대재상연표(歷代宰相年表)』, 『국조대신연표(國朝大臣年表)』, 『병가승산(兵家勝算)』, 『동인시화(東人詩話)』 등의 저서를 남겼다.[6]

사후

파주시 군내면에 묘가 있으며, 1736년(영조 12) 시호를 받았다.[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서문중 종묘의궤 A는 B의 주관자이다
서정리 서문중 A는 B의 아버지이다
이시발 서문중 A는 B의 외조부이다
경주 이씨 서문중 A는 B의 어머니이다
서원리 서문중 A는 B의 양부이다
김시희 서문중 A는 B의 장인이다
김씨 서문중 A는 B의 아내이다
서종보 서문중 A는 B의 장남이다
서종예 서문중 A는 B의 차남이다
서종유 서문중 A는 B의 삼남이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외규장각 의궤 금보개조도감의궤
  2. 외규장각 의궤 금보개조도감추보의궤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문중
  4. 기로소(耆老所) : 조선시대 연로한 관원들을 예우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로, 본래 이름은 전함재추소(前銜宰樞所)였다가 치사기로소(致仕耆老所)로 변경되었고 약칭으로 기로소라 불렸다. 문과 출신 정 2품의 문관으로 70세 이상인 사람이 들어갔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기로소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문중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서문중
  7. 『영조실록』 42권, 영조 12년 12월 2일 신유 4번째 기사, '고 영의정 서문중에게 공숙·좌찬성 박진에게 의열이라는 시호 등을 내리다.'
  8. 문화재청 서문중 초상
  9. 문화재청 서문중 초상함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