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강행실도 언해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26일 (목) 15:49 판 (시각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삼강행실도

  • 메타데이터

자료명(대표) 삼강행실도 자료명(한자) 三鋼行實圖 로마자표기 Samganghaengsildo 영문의역 Illustrated Conduct of the Three Bonds

  • 인물정보

작자 설순(偰循)

  • 시간정보

1730년 영조6

  • 시대구분

조선후기

  • 공간정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간행처 집현전

  • 형태사항

크기 세로x가로 36.2x22 판본 목판본 수량 2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텍스트

1434년(세종 16)에 집현전 부제학 설순(偰循, ?~1435)이 왕명을 받아 편찬·간행한 『삼강행실도』에 언해를 붙여 간행한 책이다. 『삼강행실도』는 우리나라와 중국의 효자·충신·열녀 등 타인의 모범이 될 만한 인물의 사적(事蹟)과 그림을 수록한 책이다. 『삼강행실도』 언해본이 최초로 간행된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대략 1481년(성종 12) 경으로 추정되고 있다. 언해본 『삼강행실도』는 한글 표기와 번역 양식에 따라 1481년 원간본 계통, 1581년(선조 14) 중간본 계통, 1730년(영조 6) 중간본 계통으로 구분된다. 이 자료는 1730년 교서관과 각 도의 감영에서 간행된 책이다. 앞 시기에 간행된 판본과 이 판본의 가장 큰 차이는 언해가 훨씬 상세해지고 원문에 충실해졌다는 점에 있다. 『삼강행실도』는 조선의 윤리 및 가치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전통 회화사의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원간본은 세종 대의 한글 표기를 반영한 희소한 문헌 중 하나로 국어학적 가치가 있다. 『삼강행실도』는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여러 차례 중간되었다는 점에서 각 시대별 한글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이다.

시각자료

자료이미지 도록_스크린샷 공공누리 http://yang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yangsan&dataType=0403&contents_id=GC014P0995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재청 http://search.cha.go.kr/srch_new/search/search_top.jsp?searchCnd=&searchWrd=&home=total&mn=&gubun=search&query=%EC%82%BC%EA%B0%95%ED%96%89%EC%8B%A4%EB%8F%84&x=0&y=0 국립민속박물관 http://nfm.museum.go.kr/nfm/getDetailArtifact.do?MCSJGBNC=PS01002001001&MCSEQNO1=023920&MCSEQNO2=00000&SEARCH_MODES=KEYWORDS&SEARCH_STR=

관련 항목

1차 노드까지, 표

공간정보

경위도 좌표, 표

시간정보

1730년(영조6)

참고문헌

주석

도록 기본값 전시 디스크립션 검색결과로 나오는 원문 및 번역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