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자성편 언해

Encyves Wiki
장원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26일 (목) 15:09 판 (새 문서: ==어제자성편언해== *메타데이터 자료명(대표) 어제자성편언해 자료명(한자) 御製自省編諺解 로마자표기 Eoje jaseongpyeon eonhae 영문의역...)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어제자성편언해

  • 메타데이터

자료명(대표) 어제자성편언해 자료명(한자) 御製自省編諺解 로마자표기 Eoje jaseongpyeon eonhae 영문의역 King Yeongjo's compliation of selected passages from the classics and his own advice to the crown prince

  • 인물정보

작자 영조(英祖)

  • 시간정보

1746년 영조22


  • 시대구분

조선후기

  • 공간정보

소장처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서울대학교?) 간행처 ?

  • 형태사항

크기 세로x가로 37.6x24.2 판본 핗사본 수량 2책 표기문자 한글, 한자

텍스트

영조가 자신을 성찰하고 왕세자에게 교훈을 주기 위해 역대 제왕의 사적 중 모범이 될 만한 내용을 간추려 편찬한 『자성편(自省編)』을 언해한 책이다. 한문본은 1746년 문정전(文政殿)에서 2권 2책으로 편집하여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본래 한문본과 함께 간행하려 했던 초본(草本)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체가 정연하고 흘림이 없으며, 편집이 잘 되어 있고 표지 장정이 호화롭다. 언해본의 언해자 및 필사자, 시기 등은 알 수 없다. 책의 체재는 「수서(首序)」, 「내편(內篇)」, 「외편(外篇)」, 「소지(小識)」, 「고교제신함명(古敎諸臣啣名)」 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서」 와 「후발」에는 1746년 2월 17일에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내편」은 심신(心身)을 위주로 한 내용이고, 「외편」은 감계(監戒)를 위주로 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영조는 「수서」에서 이 책이 평소 일을 처리하는 과정에 지난 일을 생각하며 감흥이 있는 것[追慕而興感], 생각하여 하나라도 얻은 것[思慮而一得], 잘못했다가 문득 깨달은 것[過差而旋悟], 역사 기록을 보다가 반성한 것[看史而反己]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세자에게 보여 감계하려는 의도에서 저술했음을 밝히며, 영조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신념과 사업이 세자에 의해 계승되기를 기대하였다.

시각자료

자료이미지 도록_스크린샷 공공누리 국립중앙도서관 문화재청 국립민속박물관

관련 항목

1차 노드까지, 표

공간정보

경위도 좌표, 표

시간정보

1746년(영조22)

참고문헌

주석

도록 기본값 전시 디스크립션 검색결과로 나오는 원문 및 번역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