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7월 27일 (목) 16:32 판 (인용 및 참조)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원(李元)
KadhLogo2.gif
대표명칭 이원
한자표기 李元
시대 고려
국적
성격 상인, 기술자


정의

고려 말 원나라의 상인이자, 기술자.

내용

《고려사》《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최무선이원과 같은 동네에 살아 친하게 지내며 은근히 화약 만드는 기술을 물어보고 자기 집 하인 몇 명을 시켜 화약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염초제조법을 배워 화약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한다.

Quote-left.png 10월 비로소 화통도감(火㷁都監)을 설치했는데, 판사(判事) 최무선(崔茂宣)의 말을 따른 것이다. 최무선이 원(元) 염초 기술자인 같은 마을 사람 이원(李元)을 잘 대우하여 몰래 그 기술을 묻고, 가동 몇 명으로 하여금 익혀 시험해 본 후 마침내 왕에게 건의하여 설치하였다. Quote-right.png
출처: 『高麗史』 禑王 3년(1377) 10월. 온라인 참조: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을 설치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Quote-left.png ...당나라 이원이란 자는 염초 굽는 장인인데, 공(公)이 매우 후하게 대우하고, 은밀히 그 기술을 물어서 집에서 부리는 종 몇 명을 시켜 사사로이 기술을 익히게 하여, 그 효과를 시험한 뒤에야 조정에 건의하여 홍무 10년 정사 10월에 처음으로 화통도감(火㷁都監)을 설치하여 염초를 굽고... Quote-right.png
출처: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온라인 참조: '경도 하',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무선 이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염초 이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사료
    • 『高麗史』 禑王 3년(1377) 10월. 온라인 참조: '최무선의 건의로 화통도감을 설치하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권 경도 하. 온라인 참조: '경도 하', 『한국고전종합DB』online, 한국고전번역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