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대운-진주성싸움

Encyves Wiki
AKS김지선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17일 (화) 23:5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50px


틀:작품정보

작품소개

진주성진주성싸움강대운 「진주성싸움」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민족기록화 전승편 20작품 중 하나로, 임진왜란 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이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을 지휘하여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1975년 강대운 화백이 그렸다. maschek를 사용하여 작품내 일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노드에 링크를 걸어주었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진주성과 참혹한 전투장면을 누르면 '진주성', '진주성싸움' 위키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구도와 묘사

일반적인 민족기록화의 경우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는 장면이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 오른편에는 불길에 휩싸여 말 발굽에 치이는 반라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왼편 하단에는 적병의 시신이 겹겹이 쓰러져 있는 모양을 짙은 색으로, 불화살 공격으로 화염속에 타들어 가는 왜병들의 모습을 붉은 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그림 전체에서 왜군들은 반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의 상단의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대나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는 왜군을 향해 끊는 물을 붓고 화살을 아끼기 위하여 돌을 던지는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작가의 의도

11월 8일 교수님 조언대로,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하고, 작품의 배경지식 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을 담고자 함. / 김정화 교수님의 도움이 필요함

민족기록화공간지도

현 전시상황 VR

소장처 관련 VR

관련 민족기록화

작가와 관련된 민족기록화

동일작가의 작품이 있을 경우 갤러리로 넣어줌

작품 내용과 관련된 민족기록화

임진왜란 3대 대첩 배경 작품

관계망 데이터베이스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강대운 ~을 그렸다 강대운-진주성싸움
진주성싸움 ~에서 발발하였다 진주성
김시민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김성일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이광악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성수경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곽재우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최경회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정기룡 ~에 참전하였다 진주성싸움
김시민 ~에 배향되었다 창열사
비격진천뢰 ~에서 사용되었다 진주성싸움
질려포통 ~에서 사용되었다 진주성싸움

참고문헌

추후 합의사항을 따라서 작성하겠습니다

각주

추후 합의사항을 따라서 작성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