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징

Encyves 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1월 17일 (화) 20:31 판 (관련항목)

이동: 둘러보기, 검색

30px


체징(體澄)()
대표명칭 체징(體澄)
영문명칭 Chejing
생몰년 804(애장왕 5)-880(헌강왕 6)
시호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
탑호 창성(彰聖)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웅진(熊津)
승탑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승탑비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웅진(공주 지역) 출신의 체징(體澄, 804~880)은 설악산에서 도의(道義)의 제자인 염거(廉居)에게 수학한 후 희강왕 2년(837)에 동료들과 함께 중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하지만 자신이 배웠던 선법이 중국과 다르지 않음을 깨닫고 곧바로 귀국하여 장흥의 가지산 보림사에서 도의의 선풍을 선양하였는데, 이를 가지산문이라 불렀다. 왕실의 후원을 받았던 그의 문도는 천여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이후 가지산문의 선맥은 고려말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에게도 이어졌다.[1]

출생과 유년시기

체징(體澄)은 804년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 지방에 해당되는 웅진(熊津)에서 출생하였습니다. 체징의 출생과 유년 시절에서는 남들과 구별되는 특이한 면모들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체징의 어머니는 임신한지 1년이 지나도록 아이를 낳지 못했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 체징은 물을 관장하는 전설 속의 신(神)인 하백(河伯)과 같이 건장한 체격을 가진 금발 머리의 아이었다고 합니다. 또한 세속을 떠나고자 하는 뜻이 뚜렷하여 7-8세의 어린 나이에 출가하였다고 전해집니다.

구법(求法)의 여정

체징(體澄)은 827년(흥덕왕 2) 24세의 나이에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에 위치한 가량협산(加良峽山) 보원사(普願寺)에서 구족계를 받았습니다. 이후



순번 나이 사건내용
1 804 1 웅진(熊津)에서 태어나다.
2 827 24 가양 협산 보원사에서 구족계를 받다.
3 837 34 정육(貞育), 허회(虛懷) 등과 함께 바닷길로 서쪽 중국에 들어갔다.
4 840 37 평노사(平盧使)와 함께 신라에 돌아오다.
5 858 2 55 무주(武州) 의 황학(黃壑)의 난약(蘭若)에 머무르다.
6 858 6 55 헌안대왕이 장사현(長沙縣) 부수(守副) 김언경을 보내 맞이하게 하였으나 사양했다.
7 858 10 55 헌안대왕이 승려, 속인 영암군 승정(僧正) 연훈법사(連訓法師), 풍선(馮瑄) 등을 보내 가지산사(迦智山寺)로 옮겨 거처할 것을 청하였다.
8 860 2 57 김언경이 제자의 예를 표하며 선사의 문하에 들어감. 개인의 재산을 내어 철근 2500근으로 노사나불 1구를 주조하여 가지산사에 장엄함.
9 880 4 13 77 누운채로 임종하다


관련항목

node relation node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 -를 위한 비이다 체징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 는 -의 승탑이다 체징
염거(廉居) 은 -의 스승이다 체징
체징 은 -의 스승이다 형미(逈微)
체징 은 -을 중창하였다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장흥 보림사(長興 寶林寺) 는_-와_관련있다 가지산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_-가_비문을_지었다 김영(金穎)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長興 寶林寺 普照禪師塔碑) 는_-가_비문을_썼다 김원(金薳), 김언경(金彦卿)

참고문헌

  • 조범환, 新羅 下代 體澄 禪師와 迦智山門의 개창, 정신문화연구 Vol.28 No.3, 2005, 3-24쪽.

각주

  1.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연구실, 불교사의 이해, (주)조계종출판사, 2014, 1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