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보(왕실남성)

Encyves Wiki
Monica-jang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2일 (월) 01:11 판 (기타)

이동: 둘러보기, 검색



(補)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한자표기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착용성별 남성



정의

보는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을 직성하거나 수 놓은 것을 붙이는 것이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왕세손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평상시 집무를 볼 때 입는 곤룡포에 착용한다.

형태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뒷자락이 이중으로 된 형태이다. 무와 등바대에 연결된 자락은 뒷중심이 터져 있어 활동이 편리하며 뒷길과 연결된 자락이 터진 부분을 가려주어 말을 탈 때 하의(下衣)가 보이지 않게 한다.[2]

기타

보에 관한 기록은 『세종실록』31년 9월 2일에 처음 보이는데 곤룡포를 중국황제가 세종에게 보냈으며, 왕은 오조룡(五爪龍:발톱이 5개인 용) 곤룡포를 왕세자는 사조룡(四爪龍:발톱이 4개인 용) 곤룡포를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태조어진의 곤룡포의 보는 가슴 전면을 덮고 있는 큰 형태이며 보 주면에 윤곽선이 없이 직성한 것이다. 영조 어진의 곤룡포에는 원보 주변에 윤곽선이 들어간 소놓은 보를 붙인 것이며, 발톱수로 신분을 구별하였다. 『국조속오례의보서례』에 의하면 왕은 금오조원룡보,왕세자는 금사조원룡보를 가슴 등 양어깨에 부착하고 왕세손은 금사조방룡보를 가슴과 등에 부착하였다. 1897년 대한제국 즉, 황제국이 되면서 황제를 상징하는 일월문이 추가되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보(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보(왕실남성)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보(왕실남성)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보(왕실남성) 곤룡포 A는 B에 착용한다
보(왕실남성) 국조속오례의보서례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7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3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372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