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Encyves Wiki
복식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6일 (화) 15:20 판 (판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file:|360px|thumb|center|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純宗純貞皇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민영규(閔泳奎)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906년(광무 10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정족산성)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2책 442장(상책 290장, 하책 152장)
크기 45.4×32.2
도설 20면(상책 1면, 하책 19면)(채색)
반차도 46면(상책)(채색)



정의

1906년 순종(純宗)과 계비 순정황후(純貞皇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904년 황태자였던 순종의 정비 순명황후가 승하한 후 새로운 황태자비를 맞이하기 위해 1906년 5월 13일 가례도감이 설치되고 초간택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8월 5일 재간택, 11월 16일 삼간택의 과정을 거쳐 순정황후가 낙점되었다. 이후 11월 24일 납채문명, 27일 납길, 28일 납징, 12월 10일 고기, 11일 책비, 봉영, 동뢰연, 조현례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3179), (奎 13180), (奎 13181), (奎 13183), (奎 13184), (奎 13186)
일본 궁내청: (305-8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일본 궁내청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06년 순종순정황후가례가 거행되었다
1906년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