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5일 (금) 17:21 판 (시각적 안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
작가 임직순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1920년 10월, 만주 봉오동에서 일본군 1개개개 병력을 포위 섬멸하는 홍범도 장군.

설명

작품 소재

봉오동 전투는 1920년 6월 7일, 중국 지린성(吉林省) 왕칭현(汪淸縣) 봉오동(鳳梧洞)에서 독립군의 연합 부대와 중국 국경을 넘어 독립군을 추격해 오던 일본군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홍범도(1868~1943)가 이끈 대한독립군, 안무(1883~1924)가 이끈 국민회군, 최진동(?~1945)이 이끈 군무도독부가 연합하여 결성된 대한북로독군부와 한경세가 이끈 대한신민단의 독립군 연합 부대가 야스카와 지로(安川二郞) 소좌가 이끈 일본군 제19사단의 월강추격대대(越江追擊大隊)를 쳐부수고 큰 승리를 거두었다.[1]
홍범도(洪範圖)는 독립운동가로 1907년 함경북도 북청(北靑) 후치령(厚値嶺)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1910년 간도로 건너가 , 1919년 대한독립군 총사령이 되어 만포진, 봉오동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청산리전투 후 독립운동단체가 흑룡강변으로 집결하자, 대한독립군단을 조직하여 김좌진과 함께 부총재가 되었다. 1921년 시베리아로 이동, 고려혁명군관 학교를 설립하였다.[2]

시각적 안내

홍범도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에 의해 그려지다 임직순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임직순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A은 B를 그렸다 1976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봉오동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3745 127.223215


그래프

임시


참고문헌

주석

  1. "봉오동전투",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3월 07일.
  2. "홍범도장군 봉오통전투 기록화", 한국독립운동정보시스템online, 독립기념관. 최종확인: 2017년 03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