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종국장도감의궤

Encyves Wiki
SEOYEO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5월 4일 (목) 00:25 판 (새 문서: {{의궤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의궤 흉례 효종국장도감의궤상 외규장각.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효종국장도감의궤 |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효종국장도감의궤
(孝宗國葬都監儀軌)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효종국장도감의궤
한자표기 孝宗國葬都監儀軌
주제 흉례
작성주체 국장도감
의례담당자 심지원(沈之源)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659년(현종 즉위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적상산성)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2책 515장(1책 293장, 2책 222장): 어람용/2책 471장(제1책 259장, 제2책 212장): 강화부
도설 37면(채색, 제1책 9면, 제2책 28면), 반차도(26면, 제1책)



정의

1659년(효종 10) 5월에 승하하여 10월에 장사지낸 효종(孝宗, 1619~1659, 재위 1649~1659)의 국장(國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기본 정보

  • 특징[1]
    • 18세기 의궤에 비해 체계가 완비되지 못하였지만, 같은 시기에 편찬된 『효종빈전도감의궤(殯殿都監儀軌)』에 비해서는 비교적 의궤의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어 17세기 의궤 형식 연구에도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효종국장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효종국장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효종국장도감의궤 상복 A는 B를 보여준다
효종국장도감의궤 흉례 A는 B를 기록한다
흉례 국장도감 A는 B에서 주관한다

참고문헌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배게,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배게,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주석

  1.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강화부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