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양양 선림원지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12일 (수) 17:46 판 (개요)

이동: 둘러보기, 검색


양양 선림원지
(襄陽 禪林院址)
대표명칭 양양 선림원지
한자 襄陽 禪林院址
주소 강원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424
문화재 지정번호 강원기념물 제53호
문화재 지정일 1982년 11월 3일
관리자 양양군
건립시기 통일신라
창건자 홍각선사
경내문화재 양양 선림원지 승탑,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 양양 선림원지 석등



정의

강원도 양양군 서면 황이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1]

개요

선림원은 804년(애장왕 5년) 경 순응법사(順應法師)에 의해 창건된 후 홍각선사(弘覺禪師)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전한다.[2] 월정사에 남아 있다가 한국전쟁 때 월정사와 함께 불타버린 범종이 1948년 바로 이 선림원터에서 출토되었는데, 그 범종에 804년 순응법사가 제작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선림원터에는 이 종을 돌볼 사람이 없었기에[3]평창 월정사에 옮겨 보관하였으나 한국전쟁 때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파편이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춘천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4]


순응법사가 창건할 당시 선림원은 화엄종 사찰이었으나, 경문왕 때 고승 홍각선사가 이 절로 옮겨왔고 헌강왕 때 홍각이 이 절을 크게 중창하면서 선종 사찰로 전이해간 것으로 보인다.[5] 이는 당시 화엄종 승려들이 대거 선종으로 이적한 사실을 입증해준다. 1985년 동국대학교 발굴조사단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900년 전후에 대홍수로 인한 산사태로 절터가 완전히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 있는 부도비와 석등, 삼층석탑 등은 1965년에 복원한 것이다.[6]

가람배치

이 사찰의 가람배치는 3층석탑 뒤에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 금당건물이 배치되었는데 주춧돌이 완전하게 남아 있으며, 오른쪽에 금당과 잇대어 또 하나의 건물지가 있다. 서편 언덕 위에는 석등이 놓여 있고 석등 북쪽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건물지가 발굴되었는데, 이 옆에 홍각선사탑비(弘覺禪師塔碑)가 남아 있어서 조사당(祖師堂)으로 추정된다. 현재의 넓은 광장에는 승방 등 많은 건물지들이 확인되는데 이곳 입구에 중문(中門)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7]

동영상

  • 박오덕, "[우리동네 TV 보령 성주사지]", YouTube, 게시일: 2016년 10월 5일. 2017년 4월 12일 확인.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599년 백제 법왕에 의해 오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845년 낭혜가 오합사의 주지가 되어 크게 중창하였다.
신라 문성왕 때 오합사에서 성주사로 개명되었다.
888년 낭혜가 성주사에서 입적하였다.
임진왜란기 보령 성주사 건물이 크게 소실되었다.
1984년 사적 제 307호로 지정되었다.

선림원은 9세기 초 순응법사에 의해 창건된 후 홍각선사에 의해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그리고 선림원지에는 일제강점기에 파괴되었다가 1965년에야 복원된 홍각선사부도비가 있다. 귀부와 이수만이 남았고 비신의 파편 일부는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돼 있다. 귀부의 높이는 73센티미터이고, 이수의 높이는 53.5센티미터다. 보물 제446호로 지정되었다.

선림원지삼층석탑은 다른 유물들과 마찬가지로 무너져 있던 것을 1965년에 복원한 것이다.

그 외에 886년경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홍각선사부도는 부도 중대석에 운룡문이 나타나는 최초의 작품으로, 크지도 작지도 않은 아름다움을 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순응법사가 창건한 절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8 : 강원도, 2012. 10. 5., 다음생각)

이 절은 804년에 순응(順應)법사가 세운 것으로 보여진다. 월정사에 남아 있다가 한국전쟁 때 월정사와 함께 불타버린 범종이 1948년 바로 이 선림원터에서 출토되었는데, 그 범종에 804년 순응법사가 제작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이다. 선림원터에는 이 종을 돌볼 사람이 없었기에 월정사로 옮겨졌는데, 그만 변고를 만났던 것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선림원터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ㆍ설악, 초판 1994., 21쇄 2011., 돌베개)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중앙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석등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 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낭혜 A는 B를 위한 비이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치원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인연 A는 B가 비문을 썼다
낭혜 보령 성주사지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보령 성주사지 구산선문 A는 B에 포함된다
성주산문 구산선문 A는 B에 포함된다
성주산문 선종 A는 B에 포함된다

김원은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보물 제446호의 비문을 지었다. 이 비는 886년(헌강왕12)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김원이 짓고 승려 운철이 왕희지의 글씨를 모아 새겼다고 한다.

주석

  1. "[양양 원림원지]", 문명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2012년 12월 12일.
  2. "양양 선림원지",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최종확인: 2017년 4월 12일.
  3.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ㆍ설악』, 돌베개, 2011. 온라인 참조: "선림원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4. "양양 선림원지",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최종확인: 2017년 4월 12일.
  5. 신정일,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8 : 강원도』, 다음생각, 2012. 온라인 참조: "아름다운 폐사지 선림원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6.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 3 - 동해ㆍ설악』, 돌베개, 2011. 온라인 참조: "선림원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7. "양양 선림원지", 문명대,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