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오승우-황산싸움

Encyves Wiki
AKS장동룡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11일 (화) 14:54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계백장군의 황산싸움
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
작가 오승우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의자왕(義慈王) 20년(660년) 6월, 백제의 5천 결사대가 황산벌에서 5만의 신라군에 맞서 싸운 전투를 표현한 기록화로 1976년 오승우 화백이 그렸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 배경

작품 구도

백제는 바다와 육로로 길을 나누어 침공해온 나당(羅唐) 연합군을 격퇴하는데 실패하였고, 또한 천혜의 방어지인 백강(白江)과 탄현(炭峴)에서 나당연합군을 저지할 수 있는 기회도 잃어, 백제는 멸망의 위기에 몰리게 되었다. 이에 [의자왕]은 계백(階伯)에게 5,000의 결사대를 주어 [김유신]의 5만 신라군과 대적하게 하였다. 죽기를 각오한 계백의 백제군은 황산(黃山, 지금의 충남 연산)에서 신라군과 4차례 싸워 모두 승리하였으나,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패하였다. 오승우 화백이 당시의 치열한 전투를 생생하게 묘사하였다.[1]

시각적 안내

계백오승우-황산싸움(계백)-1976s.jpg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승우 오승우-황산싸움 A는 B를 그렸다. 1976년
전쟁기념관 오승우-황산싸움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1998년-
오승우-황산싸움 계백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오승우-황산싸움 황산벌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오승우-황산싸움 황산벌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틀:김유신 황산벌전투 A는 B에 참가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오승우이 오승우-황산싸움를 제작하였다.
1991년 01월 31일- 1992년 01월 30일 청와대가 오승우-황산싸움를 대여하였다.
1998년 전쟁기념관가 오승우-황산싸움를 소장하고 있다.
660년 6월 [[계백]가 황산벌전투에 참가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7122 126.977156 오승우-황산싸움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36.207173 127.237210 오승우-황산싸움은 [[황산벌]을 배경으로 한다.

그래프


참고문헌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한국도서출판공사, 1981년.11-15쪽

주석

  1. 전쟁기념관-유물정보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0",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
  3. "민족기록화13(황산벌전투)",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