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Encyves Wiki
최한샘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4월 7일 (금) 19:33 판 (내용)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和順雙峯寺澈鑒禪師塔)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영문명칭 Stupa of Master Cheolgam at Ssangbongsa Temple, Hwasun
한자 和順雙峯寺澈鑒禪師塔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742-1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제57호
문화재 지정일 1962년 12월 20일
소유자 화순 쌍봉사
관리자 화순 쌍봉사
크기 높이 1.4m
건립시대 통일신라
관련승려 도윤
관련탑비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정의

전라남도 화순군 이양면 증리 쌍봉사에 있는 통일 신라 시대 철감선사(澈鑒禪師)의 부도.[1]

내용

화순 쌍봉사(雙峰寺)에 세워져 있는 철감선사(澈鑒禪師)의 탑이고, ‘쌍봉(雙峰)’인 그의 호를 따서 ‘쌍봉사(雙峰寺)’라 이름하였다. 868년(경문왕 8년) 71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였고, 왕은 ‘철감(澈鑒)’이라는 시호를 내리어 탑과 비를 세우도록 하였다.[2]

이 탑 전체에는 치밀하고 정교한 새김장식이 베풀어지고 특히 탑신에는 목조건축물과 방불할 정도의 정밀한 표현이 돋보여 통일신라 승탑 중에서는 단연 걸작에 속하는 작품이다. 기본 평면이 팔각당형으로 구성된 이 승탑은 팔각의 바닥돌을 2단으로 내고 그 위에 낮은 1단의 각이 진 턱을 둥글게 돋우어 2단의 하대를 받고 있다. 하대는 2단으로 구성되고 여기에 소용돌이 구름무늬를 베풀고, 상단에는 꽃무늬 기둥을 모서리마다 새기고 각 면에는 사자상을 새겨 넣었다. 중대는 다양하게 굴곡이 지고 각을 낸 괴임턱을 돋운 다음 각 면 모서리에 꽃무늬 기둥을 새기고 기둥 사이의 각 면에는 가릉빈가(인도의 전설적인 새)를 배치하였다. 상단 역시 2단으로 구성하여 하단에는 연꽃무늬, 상단에는 우아하게 굴곡이 진 상다리 모양의 입체적인 인상을 베풀고 그 안에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天人像)이 하나씩 새겨져 있다. 탑신은 맨 밑에 연꽃무늬의 받침을 내고 그 위로 둥근 기둥을 모서리마다 올렸다. 앞뒤의 벽면에는 문틀과 자물통을 표현하고 그 좌우면에 사천왕상을 배치하였으며 나머지의 양 옆면에는 비천상이 새겨져 있다. 기둥 위에는 기둥머리가 얹혀 있고 기둥머리와 기둥머리를 연결하는 부재도 표현되고 있다. 지붕돌에는 기왓골, 두 겹의 서까래들이 새겨져 있고 처마 밑 깊숙한 곳에는 비천상과 향로가 장식되어 있다. 처마 밑에는 암막새와 수막새 기와의 무늬까지 표현되어 있어 탑신부는 목조건물을 완벽하게 재현하고 있다. 상륜부는 부재를 꽂았던 구멍만 지붕 위에 남아 있을 뿐이다.[3]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화순 쌍봉사 A는 B에 있다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도윤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886년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도윤 A는 B를 위한 비이다 886년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주석

  1.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04월 07일 확인.
  2.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문화재검색』, 문화재청. 2017년 04월 07일 확인.
  3. "쌍봉사철감선사탑",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017년 04월 07일 확인.